SKT, 내비게이션 티맵 '에이닷' 적용
LG유플러스, 부산 자율주행버스 서비스 개시

SK텔레콤과 티맵모빌리티는 내비게이션 '티맵'의 AI를 '누구'에서 '에이닷'으로 교체했다/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과 티맵모빌리티는 내비게이션 '티맵'의 AI를 '누구'에서 '에이닷'으로 교체했다/사진=SK텔레콤 제공

통신사가 인공지능(AI) 수익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모빌리티로 영역을 넓혔다. AI 상품도 다양화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모빌리티로 AI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티맵모빌리티는 내비게이션 '티맵' AI를 교체했다. SK텔레콤 AI '누구' 기반 음성 안내를 AI '에이닷' 기반 음성 안내로 개편했다. 운전자와 상호 작용을 강화했다. '대화형 모빌리티 AI 에이전트'가 지향점이다.

이번 개선으로 경유지를 포함한 경로를 한번에 요청할 수 있게 됐다. 운전자가 "근처 주요소 들렀다 집에 가자"라고 말하면 목적지인 집과 경유지인 주유소를 함께 고려해 경로를 안내한다. 정확한 지명을 말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교정하는 기능도 넣었다. 정보 검색 기능을 확대했다. 테마별 검색을 지원한다. 또 ▲실시간 교통 상황 확인 ▲전화·문자 발신 ▲플로 및 멜론 음악 재생 ▲날씨·뉴스 조회 ▲일정 확인 ▲일반 검색 등을 제공한다.

김지훈 SK텔레콤 AI사업전략본부장은 "에이닷을 티맵에 도입함으로써 명령어 중심의 일방향적 소통을 넘어 운전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에이닷이 사용자의 요구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원하는 후속 행동까지 매끄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 고도화하겠다"라고 말했다.

전창근 티맵모빌리티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이번 에이닷 도입으로 사용자의 주행 환경과 발화 의도를 더욱 스마트하게 이해하고 실행함으로써 기존 내비게이션 사용성을 뛰어넘는 대화형 모빌리티 AI 경험을 열게 됐다"라며 "티맵은 에이전틱 AI 고도화를 통해 서비스 이용에 혁신적인 경험을 지속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LG유플러스는 부산 오시리아 관광지구에서 자율주행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16인승 전기버스 4대다. 오시리아역-롯데몰-국립부산과학관-기장해안로를 연결한다. 일반 차량과 같은 도로를 주행한다.

LG유플러스는 부산 오시리아 관광지구에서 자율주행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부산 오시리아 관광지구에서 자율주행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사진=LG유플러스 제공

탑승은 정류장에서 일반버스와 같은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용료는 일단 무료다. 향후 운행 상황에 따라 유료화를 검토할 예정이다. 내성~중동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간으로 확대도 계획 중이다.

LG유플러스는 ▲라이드플럭스(자율주행차 제작) ▲엔제로(관제시스템) ▲트라콤(교통인프라)과 함께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기반 자율주행 체계를 구축했다.

박준석 LG유플러스 모빌리티사업담당은 "자율주행버스를 통해 시민이 최고의 고객 경험과 새로운 이동 편의를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앞으로도 미래형 교통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오픈AI와 AI 협력에 나섰다. 가입자용 AI 상품을 추가했다.

양사는 '챗GPT 플러스' 프로모션을 개시했다. 신규 및 3개월 미사용자 대상이다 챗GPT플러스를 1개월 구독하면 2개월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오는 19일부터 내년 2월까지 'T우주'에서 프로모션 쿠폰을 배포한다.

이재신 SK텔레콤 AI성장전략본부장은 "글로벌 협력과 자강을 투 트랙으로 강화해 고객 중심 AI 생태계를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앤디 브라운 오픈AI 아시아태평양 지역 비즈니스 총괄은 "SK텔레콤과 공동 마케팅으로 더 많은 사람이 챗GPT에 보다 쉽게 접근해 일상 속에서 AI의 가치를 경험하게 되길 바란다"라고 역설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