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침해 여부를 확인하기 전에 서버를 폐기해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이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통신·금융 해킹사태 관련 청문회에서 "서버 폐기 과정에 증거가 인멸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지난 7월 17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이메일로 최초 해킹 제보를 접수한 뒤 KT에 침해사고 사실 확인을 요청했는데 KT가 최종 확인도 하기 전에 서버 8대 중 6대를 폐기했다"며 "확인이 안 됐는데 폐기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KT는 지난 7월 18일 KISA에게 침해사고 사실 확인요청을 받은 뒤 21일 침해 징후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통보한 바 있다. 이어 21일 자체 조사 결과 침해 징후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재차 통보했다.
이 의원은 KT가 침해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KISA에 3차 통보한 8월 8일을 최종 보고(확인)일로 판단했다. 이에 사실을 확인하기 전인 8월 1일과 6일 KT가 서버를 폐기한 상황과 관련해 은폐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고 질문했다.
김영섭 KT 대표이사는 "폐기와 관련해 (내부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결정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아서"라며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서버 폐기 과정의 결제라인(책임자)에 대해서도 "폐기 규모나 내용에 따라 다르겠지만 팀장 수준에서 전결하고 폐기한다"며 사실상 실무자 단위에서 폐기가 이뤄졌음을 시사했다.
한편 KT는 그간 인증서의 유효기간을 10년으로 설정해 한 번 접속하면 위치정보나 소프트웨어 확인 절차 없이 망에 접속해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해왔다. 최근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악용한 고객 무단 소액 결제 사건으로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를 받고 있다. KT는 현재 약 18만개의 펨토셀을 관리 중이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픽셀 액션 가디스오더] 액션 RPG의 새 역사...해외서 주목하는 가디스오더
- [KBW 25] 비트코인빵부터 한정판 굿즈까지…즐길거리 풍성한 빗썸 테마파크존 '눈길'
- KT, 펨토셀 관리 부실 인정...김영섭 대표 "사태 해결 위해 최선 다할 것"
- [이프 카카오] 카카오, 자체 개발 '카나나-2' 모델로 '에이전틱 AI' 시대 연다
- [이프 카카오] 개발 생산성 2배로...'AI 네이티브 전환' 나선 카카오
- 조승래 의원, '게임산업법 전면개정안' 발의..."게임진흥원 설립"
- "예정보다 일찍 서버 폐기" 의혹에 KT "찜찜해서"...과기정통부 "책임 따질 것"
- [KBW 25] 민병덕 의원 "글로벌 경제 영토 확장 위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신속 도입해야”
- [TGS 25] 아시아 최대 게임 축제 개막 'D-1'...글로벌 게이머 맞이 준비하는 '도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