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가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사용자들이 더 편하게 카카오페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홈'을 새롭게 선보였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글로벌 홈'은 언어 장벽 등으로 인해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과 메뉴 구성과 이용 어려움을 느끼는 외국인 사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뒀다. 실제 카카오페이를 이용하는 외국인은 약 74만명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3명 중 1명에 달한다. 이는 고령층을 위한 '큰 글씨 홈', 10대 청소년을 위한 '틴즈넘버'에 이어, 금융 서비스 이용에 장벽을 느낄 수 있는 특정 사용자층을 배려한 카카오페이의 포용적 금융 확대 전략의 일환이다.
먼저 카카오페이는 외국인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화면으로 '글로벌 홈'을 구성했다. 송금·결제·카드만들기·교통카드 등 외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핵심 서비스를 전면에 배치하고 화면을 단순화했다. 특히 'K패스'를 '교통카드 충전', '신용관리'를 '신용점수'로 변경하는 등 서비스명을 직관적으로 변경해 이해도를 높였다. 이와 함께, 증권계좌 개설이나 일부 보험 서비스 등과 같이 외국인이 현재는 이용이 어려운 서비스는 화면에서 과감히 제외했다.
글로벌 홈은 국내 체류 외국인 비중을 고려해 한국어 외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를 우선 지원하며 향후 지원 언어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나아가 현재 홈 화면에만 도입된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송금과 결제 등 주요 서비스의 이용 과정에도 순차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외국인 특화 생활 콘텐츠도 제공한다. '외국인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2차 소비쿠폰 외국인 발급 여부'처럼 외국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 콘텐츠로 제공한다. 또 상하단 영역에 유용한 청구서나 굿딜 혜택 등을 외국어로 소개해 실질적인 편의를 더했다.
카카오페이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언어와 정보의 제약 없이 카카오페이를 통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금융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이번 '글로벌 홈'을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외국인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다양한 서비스들을 출시하며 '누구에게나 이로운 금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