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인스페이스 세종 4호 이미지 /사진=한컴인스페이스 제공
한컴인스페이스 세종 4호 이미지 /사진=한컴인스페이스 제공

한컴인스페이스는 시스템 설계부터 체계 종합, 운용까지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한 초소형 위성 '세종 4호'를 오는 27일 누리호 4차 발사에 탑재해 발사한다고 17일 밝혔다. 

세종 4호에는 한컴인스페이스가 보유한 실시간 운영체제와 비행 소프트웨어를 적용했다. 이 운영체제는 탑재컴퓨터를 구동하는 핵심 두뇌 역할을 맡는다. 비행 소프트웨어는 위성 자세 제어와 임무 수행 등 실질적인 운용에 관여한다. 국산화에 성공한 태양 전지판 및 구조체 등 하드웨어도 장착됐다. 

세종 4호는 6U급(가로 200mm x 세로 100mm x 높이 340mm, 무게 약 7.6kg) 초소형 위성이다. 고도 600km 저궤도에서 5m급 다중분광 영상을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위성은 약 90분에 한 번씩, 하루 14~16회 지구를 선회한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세종 위성'을 통해 확보하는 영상과 드론, 지상 센서 등 이종 데이터를 자사 통합 플랫폼 인스테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융합·분석한다. 인스테이션은 멀티-INT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부터 처리, 융합·분석까지 전 주기를 자동화하는 야누스 엔진과 AI 학습 및 배포를 자동화하는 엠엘옵스 기술을 핵심으로 한다. 

회사는 이를 통해 농업·산림·토지 변화 모니터링과 재난 탐지, 국방 감시, 산업안전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고부가가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기술은 국내외 100여건의 사업에 적용된 바 있다.

한컴인스페이스는 2022년 5월 '세종 1호'와 2025년 6월 '세종 2호'를 발사·운용하며 위성 운용 역량을 축적해왔다. 이번 세종 4호 발사는 한컴인스페이스의 군집위성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의 일환이다. 향후 군집위성 운용을 통해 위성 데이터의 수집 밀도와 빈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세종 4호는 지난 5월 우주물체 예비등록을 완료한 뒤 지난달 31일 나로우주센터에 인도됐고, 이달 3일 누리호 4차 발사의 발사관에 탑재됐다.

한컴인스페이스는 내년 2월 초분광카메라를 탑재한 '세종 3호'를 스페이스X 팰컨9을 통해 발사할 예정이다.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는 "이번 세종 4호 발사는 한컴인스페이스의 위성 개발 기술력과 시스템 통합 역량을 우주 공간에서 실증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확보한 기술을 기반으로 위성 개발부터 운용, 데이터 분석까지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강화하고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