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패배 결과를 인정한다는 공식 입장을 아직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23일 연방총무청(GSA)와 자신의 참모들에게 조 바이든 당선인으로의 정권 이양에 협력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를 원만하고 평화로운 정권 이양을 허용하는 조치라고 평가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임기는 내년 1월20일부터 시작됩니다.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프 행정부가 외교 경제 환경 이민 등의 분야에서 추진한 주요 정책들을 그 이전으로 되돌려 놓는데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바이든은 취임 첫날 가장 먼저 할 일로 "트럼프 대통령이 무시하고 약화시킨 동맹을 회복하고, 미국 주도의 전통적 국제 질서를 회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와중에 아직까지 임기가 남은 트럼프 대통령의 '뒤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 때리기와 이민자 장벽을 쌓는 일입니다.
미국 국방부는 현지시각 3일 중국 반도체기업 SMIC와 석유기업 중국해양석유(CNOOC), 중국국제전자상무중심그룹(CIECC) 건설기술기업(CCT)등 4개 기업을 강력 규제 대상인 블랙리스트에 추가적으로 올렸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들 기업이 중국 인민해방군 소유거나 그 영향을 받는 곳으로 분류한 것입니다. 이곳 기업들에 대해서는 미국 투자자들의 투자가 제한됩니다.
이번 조치로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 수는 총 35개로 늘어났습니다. 일부 외신은 이번 조치가 바이든 당선인 취임 전 중국과의 긴장을 고조시킬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대중 강경 분위기를 조성해 바이든 행정부가 쉽게 조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미 법무부는 페이스북을 고임금 일자리에 외국인을 고용해 미국인 노동자를 역차별했다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무부는 페이스북이 평균 연봉이 15만6000달러(약 1억7000만원)인 2600개 이상 일자리에 자격을 갖춘 미국 근로자가 지원할 기회를 주지 않고 외국인을 채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페이스북이 임시 비자를 지닌 직원이 정규직 전환을 요청하면 자리를 만들어 줬고, 이 과정에서 정식 채용 공고나 신청서 접수를 하지 않으며 미국인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는 주장입니다. 페이스북은 내국인 차별 문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법무부와 협력해 왔다며 법무주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마지막 '대못 박기'식 정책이 앞으로 어떤 결과를 낳게 될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3분템뉴스] 트위터 vs. 트럼프에서 시작된 'SNS 규제', 실리콘밸리 반응은?
- [글로벌 3분템뉴스] 트럼프와 갈라선 트위터에 마크롱이 보낸 러브콜?
- [글로벌] 테슬라, 트럼프 행정부에 소송…"중국 부품 관세 돌려줘"
- [글로벌] 트위터 "더 이상 트럼프 대통령 특별대우 없다"
- [글로벌] 트럼프의 '선거 불복' SNS가 막는다?
- [글로벌] '아너' 매각한 화웨이, 영국에는 "트럼프도 떠나는데, 5G 장비 써줘"
- [글로벌] 미국판 배달의민족 '도어대시', 상장 첫날 주가 86% 급등
- [글로벌] 페이스북, 아일랜드 지주회사 폐업… 美 국세청에 꼬리 내렸다
- [글로벌] 초유의 美 국회의사당 침입... 트위터-페북도 대응
- [글로벌] 美 정부, 알리바바-텐센트 등 中 IT거인도 노린다
- [글로벌] 트럼프 시대 저물었지만… 극성 지지자로 'SNS 폐쇄' 이어져
- [글로벌] 바이든, 취임 첫날부터 이민개혁 조치... IT업계 웃는다?
- [글로벌] 中 파운드리 기업 SMIC, 부회장 사임...이유는 TSMC 출신 경영진 내부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