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은 국내 1위 콘텐츠 기업 지위에 안주하지 않겠다. 지금 콘텐츠 시장은 국가간 장벽이 허물어진 글로벌 시장이다. CJ ENM은 글로벌 토탈 엔터테이넌트 기업으로 거듭나겠다."
강호성 CJ ENM 대표는 3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센터에서 열린 'CJ ENM VISION STREAM'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CJ ENM은 5년간 5조원을 콘텐츠 제작에 투자해 글로벌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강조하며 ▲콘텐츠 제작 역량 고도화 ▲음악 메가(Mega) IP 확보 ▲디지털 역량 강화 ▲ 제작역량 글로벌화에 대한 전략을 내놨다.
5조 투입해 K콘텐츠 발굴 이어간다...글로벌 전진기지 '구축'
강호성 대표는 2016년 스튜디오드래곤을 통해 전문적인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 시대를 열었던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예능·영화·디지털·애니메이션 등에서도 전문화된 멀티 스튜디오 구조를 갖춰간다는 구상을 밝혔다. 전문화된 스튜디오 구조에서 제작된 콘텐츠는 CJ 동영상서비스(OTT) 티빙 뿐만 아니라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OTT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서 수익성을 확보하고 글로벌향 기획제작역량을 지속 강화해 크리에이터에 대한 동기 부여와 비전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콘텐츠 제작 능력 강화를 위한 방안 중 하나가 멀티 스튜디오 구조로 포맷이나 장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예능 영화 디지털 애니메이션 장르들을 아우르면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최적화된 체계가 멀티 스튜디오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강 대표는 프랜차이즈 지식재산권(IP)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내며, 드라마, 영화, 웹툰, 공연간 상호 연결되는 콘텐츠를 만들어내 완결형의 자체 제작 생태계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향후 5년 동안 5조원 규모 이상의 콘텐츠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콘텐츠로 보면 2000회차 정도의 콘텐츠로, 하루 분량으로 환산할 경우 4개 콘텐츠를 매일 선보이는 규모다. 이 중 절반 이상을 드라마에 투자할 계획이며, 나머지는 티빙을 포함한 예능, 영화에 투자할 예정이다.
강 대표는 "웰메이드 IP 양산 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투자도 대폭 늘릴 예정"이라며 "올해만 8000억원의 콘텐츠 투자 비용이 잡혀 있고, 향후 5년 동안 5조원 규모 이상의 콘텐츠 투자를 실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K팝 생태계 확장한다...글로벌 음악 사업 '메가 IP' 발굴
이어 강 대표는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K팝 IP 발굴에도 힘쓸 예정이라고 밝혔다. '슈퍼스타K', '아이랜드(I-LAND)' 등 CJ ENM이 구축해온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K팝 메가(Mega) IP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 'MAMA', 'KCON' 등 대형 글로벌 프로젝트로 결집된 팬덤에 결합해 CJ ENM만의 IP 포트폴리오로 참여·경험형 글로벌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실제 CJ ENM 음악 사업은 이미 글로벌에서도 뚜렷한 성과를 창출해 내고 있다. '아이랜드'를 통해 탄생한 '엔하이픈'이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하고 빌보드 200 차트에 진입하자마자 18위에 오르는 등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것. 일본에서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배출시킨 '제이오원(JO1)'이 오리콘차트 1위를 달성했다. HBO-MAX와 손잡고 남미 K팝 아이돌 그룹 오디션 프로그램도 기획·개발에 들어갔다.
오리지널 콘텐츠 확장하는 티빙...K콘텐츠 맛집으로 '우뚝'
이명한 티빙 공동대표는 오리지널 콘텐츠 수급을 통해 티빙을 K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써 입지를 다져갈 것이라고 밝혔다. 티빙은 D2C 유통환경에서 고객의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직접 제공함으로써 CJ ENM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며 글로벌 플랫폼으로도 확장해 K콘텐츠를 전세계에 보급하는 창구 역할을 맡는다는 복안이다.
이어 마이크를 잡은 양지을 공동대표는 티빙의 폭발적인 성장세에 주목, 향후 오리지널 콘텐츠 투자 확대로 고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실제 티빙은 초창기 20~30대 가입자 중심에서 중장년 유료 가입자 증가율도 출범 대비 올해 4월 기준 40대 28%, 50대 46%, 60대 33%로 크게 늘고 있다. 전체 유료 가입자 중 절반 이상(57.1%)의 고객이 하루에 최소 한 개 이상의 콘텐츠를 시청하는 등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를 위해 티빙은 2023년까지 약 100여편의 오리지널 제작, 800만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하고 2022년에는 글로벌로 사업을 확장해 'No.1 K콘텐츠 플랫폼'이라는 비전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스튜디오드래곤, 애플TV 드라마 판권 따냈다...'The Big Door Prize' 제작
- 애플TV 수주 따낸 스튜디오드래곤...해외서 연이은 '승전보'(종합)
- '아마존-MGM 합병' 글로벌 OTT 커지는데..."국내 OTT 정책 손볼 때 됐다"
- '윤식당' 이진주PD 연애리얼리티 '환승연애'...티빙 오리지널로 나온다
- [카드뉴스] 5년간 5조...CJ ENM의 남다른 'K콘텐츠' 투자
- "U+모바일tv서 엠넷 못봐?" 사용료 갈등에 LGU+, 송출 중단 카드 꺼냈다
- [OTT 톺아보기] ④세상 모든 팬덤, 티빙에 모여라 "글로벌 No.1 K콘텐츠 플랫폼"
- 日 열도 흔든 '스튜디오드래곤'...도쿄서 개최한 드라마 전시회 '성황'
- NFT 정조준 '스튜디오드래곤', 코빗과 '맞손'...빈센조 디지털 굿즈 띄운다
- '콘텐츠' 효과 톡톡...'미디어' 날개 단 CJ ENM 2분기 실적 '고공행진' 전망
- 메타버스 힘주는 CJ ENM, 삼성전자와 '맞손'...버추얼 스튜디오 띄운다
- '슬의생·티빙' 효과 톡톡...CJ ENM, 하반기도 '콘텐츠 힘' 보여준다(종합)
- CJ ENM, ESG 경영 나선다..."위원회 설립·UNGC 가입"
- "티빙이 효자네"…CJ ENM, 4Q도 콘텐츠로 훨훨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