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국경을 초월한 인공지능(AI)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소매를 걷어 붙였다. '일본' '홍콩'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를 넘어 '독일' '프랑스'까지 AI 연구 센터를 구축, 인력 확보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궁극적으론 구글의 AI 네트워크를 견제하고,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AI 기술 패권에 견줄만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프랑스, 독일 찍고 미국으로...AI 생태계 글로벌 확장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인공지능(AI) 연구 역량을 갖춘 독일 튀빙겐대학교와 더욱 안전하고 신뢰 가능한 AI 연구 개발(R&D)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네이버와 튀빙겐대학교는 AI의 편향성을 제거하고 해석 가능성을 향상시켜 사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AI를 연구 개발할 계획이다. AI 기반 시스템이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에 대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더 나아가 네이버는 내년 상반기까지 튀빙겐대학교와 더욱 강력한 연구 협력을 위해 튀빙겐대학교 AI 센터 내에 공동 연구소를 설립하고. 연구 인력의 상호 교환 방문, 학생 연구자 지원 등을 통해 교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네이버의 유럽 진출은 지난 2017년 제록스리서치센터유럽을 인수해 네이버랩스유럽을 설립하면서 시작됐다. AI를 비롯해 컴퓨터·3D 비전, 자연어 처리 등 첨단 기술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유럽을 넘어 궁극적으론 북미지역까지 네이버 AI 연구벨트 확장이 이뤄질 전망이다. 네이버는 '2021 검색 콜로키움 글로벌 리서치'에서 미국으로 연구개발(R&D) 조직을 확대하고 글로벌 검색 기능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핵심은 AI 연구로, 이 조직을 이끄는 수장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스냅 출신 김진영 책임리더가 맡았다.
일본부터 베트남까지...亞 인재 유치 '총력전'
네이버의 AI 네트워크 구상은 지난 2018년부터 본격화됐다. 네이버는 홍콩과학기술대학교와 손잡고 AI 연구소를 개소했다. 당시 네이버랩스유럽에 이어 세워진 두 번째 AI 연구소로, 아시아 연구 거점으로는 첫 번째다. AI 기술 연구의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최첨단 연구를 진행, 산학공동연구의 시너지를 발휘해 나간다는 계획으로 출범했다.
이후 네이버는 아시아 국가 곳곳에 AI 연구 기지를 구축하고 인재 확보에 주력해왔다. 대표적인 전초기지는 베트남과 일본이다. 네이버는 베트남 우정통신대학(PTIT)과 공동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베트남 현지의 우수 인재들과 네이버 연구진들이 딥러닝, 매핑, 동영상, 음성인식 등 다양한 기술 분야 산학과제들을 진행한다. 이곳은 앞서 네이버가 하노이과학기술대학(HUST)과 설립한 연구 센터에 이어 세운 두번째 연구 거점이다.
지난 3월 네이버 라인과 야후재팬의 통합으로 탄생한 'Z홀딩스' 역시 네이버 AI 네트워크의 핵심 기지다. Z홀딩스는 '일본 및 아시아 기반의 글로벌 선도 AI 테크 기업'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든 서비스에 AI를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Z홀딩스는 향후 5년간 5000억엔(약 5조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글로벌 및 일본에서 약 5000명의 AI 분야 엔지니어를 증원할 계획이다.
구글 AI 기술패권 맞서 '승부수'...제 3흐름 주도할 것
네이버는 구글의 AI 네트워크를 견제하고,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AI 기술 패권에 견줄만한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목표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2019년 기술 콘퍼런스 '데뷰'에서 '글로벌 AI 연구벨트' 청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네이버의 본진인 한국과 일본, 확장 거점인 프랑스와 베트남 등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일대일로' 기술 네트워크를 구축, 미·중 기술 패권에 맞선다는 구상이다.
당시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네이버의 핵심 AI 연구소가 위치한 프랑스, 세계 10위 안에 드는 개발자 규모를 갖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네이버 중심의 기술 연구 네트워크를 조성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 이 연구 벨트가 GAFA(구글·아마존·페이스북·애플)을 중심으로 한 미국과 BATH(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화웨이)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엄청난 기술력에 견줄 수 있는 새로운 글로벌 흐름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청사진을 그려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네이버가 구축한 AI 네트워크는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구글의 AI 네트워크와 대비된다. 구글은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AI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구글은 지난 2017년 베이징에 아시아 첫 인공지능 연구소 '구글 중국 AI 센터'를 설립했으며 베이징과 상하이에 각각 인공지능 연구 조직을 두고 있다.
이에 반해 네이버는 본진인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 기지를 구축하고, 확장 거점으로 베트남과 유럽을 택하며 또 다른 AI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네이버는 서울대, 카이스트 등 국내 굴지 대학들과 잇따라 손을 잡고 AI 공동 개발에 주력 하고 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네이버, 서울대 이어 카이스트와도 '초대규모 AI' 동맹 맺었다
- 구글 이어 네이버도 찜했다...막 오른 '초거대 AI' 주도권 경쟁
- [카드뉴스] 너도 나도 '초거대 AI'...그런데 '초거대 AI'가 뭔가요?
- '글로벌 AI 벨트' 확장하는 네이버...베트남 두번째 연구 거점 개소
- '일본' '홍콩' 이어 '베트남'까지...亞 인공지능 패권, 네이버가 잡는다
- 진격의 네이버...세계 최대 음성 AI 학회서 연구논문 '9개' 뽑혔다
- '글로벌 AI 벨트' 확장하는 네이버...독일 튀빙겐대학교와 연구 협력한다
- 네이버, 로봇 친화 건물 '제 2사옥' 관련 특허 출원..."전세계 최초"
- 네이버, 중소상공인 생존에 총력전...4년간 3000억 썼다
- 'AI 최강자' 네이버, 톱 학회서 논문 무더기 채택...산학협력 빛났다
- 산학 연계 집중한 네이버, 글로벌 학회서 8개 논문 채택...'AI 투자' 빛났다
- "구글 게 섯거라" 亞 넘어 유럽까지...네이버 '글로벌 AI 벨트' 무한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