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신설회사 사명 'SK스퀘어'
존속회사는 'SK텔레콤' 유지
반도체·뉴 ICT 사업 시너지와 미래 비전 담아
SK텔레콤은 인적분할을 통해 새롭게 출범하는 신설투자회사의 사명을 'SK스퀘어(SK Square)'로 결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존속회사의 사명은 'SK텔레콤'을 유지한다. SK텔레콤은 오는 10월 12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인적분할 계획을 최종 확정하고, 분할기일인 오는 11월 1일 SK텔레콤(존속회사)과 SK스퀘어(신설회사)로 공식 출범한다.
새롭게 탄생하는 SK텔레콤과 SK스퀘어는 각각 통신 기반의 인공지능(AI)∙디지털 인프라 사업과 반도체∙정보통신기술(ICT) 투자 영역에서 성장을 가속화해 'SKT 2.0'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SK스퀘어, 2025년 순자산가치 75조 목표
신설회사의 사명 'SK스퀘어'에는 사업 재편을 통해 반도체 및 ICT 산업에서 투자와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미래를 향한 자신감과 의지가 담겨 있다. '광장' 또는 '제곱'이라는 의미를 가진 스퀘어(Square)는 다양한 ICT 산업을 아우르고 이를 기반으로 융합과 혁신을 통해 사회∙주주와 함께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를 키우겠다는 비전을 뜻한다.
SK스퀘어는 반도체·ICT 영역에서 이와 같은 전략을 기반으로 ▲적극적 투자, 인수합병(M&A) ▲뉴 ICT 포트폴리오 성장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통해, 순자산가치(NAV)를 오는 2025년에는 현재의 세 배인 75조원 규모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SK스퀘어는 우선 반도체 분야에서 공격적인 투자 및 인수합병(M&A) 추진 등을 통해 SK하이닉스와의 시너지를 제고하는 동시에, 정부와 민간이 함께 추진중인 'K반도체 벨트' 조성에 힘을 쏟고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강화하는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또, 앱마켓(원스토어), 커머스(11번가), 융합보안(ADT캡스), 모빌리티(티맵모빌리티) 등 다양한 뉴 ICT 영역에서도 선제적 투자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의 超협력을 통해 포트폴리오 강화를 지속 이끌며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밖에 양자암호, 디지털 헬스케어, 미래 미디어 콘텐츠 등 고성장 미래혁신기술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도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창출한 수익은 다시 연구개발(R&D)에 재투자하는 미래기술 사업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게 된다.
한편,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오는 10월 임시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거쳐 오는 11월 공식 출범하는 SK스퀘어 사장으로 선임될 예정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새롭게 출범하는 SK스퀘어는 글로벌 ICT 투자전문기업으로 도약해 반도체 등 미래 핵심산업을 진흥하고 생태계 활성화를 선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 경제와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11번가, 삼성 '갤럭시 Z3 시리즈' 라이브 방송-사전예약 판매
- "비용 절감 방안 추천" SKT, AI 기반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클라우드 레이다' 출시
- 통신3사, 'V 컬러링'으로 뭉쳤다...'전화걸어 V 컬러링' 디지털 캠페인 공동 진행
- 폴드3·플립3 공시지원금 최대 '50만원' 예고...플립3, 실구매가 60만원대 '눈길'
- 5G 1600만 시대, 5G 품질 직결되는 통신3사 설비투자는 '제자리걸음'
- SKT, 서울교통공사∙티맵모빌리티와 지하철 칸별 혼잡도 '실시간' 안내한다
- SKT, 고양시와 드론산업 생태계 구축 나선다
- SKT, 5G 기업 전용망 구축 사업 뛰어든다...에치에프알-엔텔스와 '맞손'
- 11번가서 아마존 상품 구매한다...글로벌 스토어 31일 론칭
- SKT, 창립 37년 만에 기업 구조 개편…"신설기업 기업 규모 75조원로 키운다"
- SKT, 임시주총서 'SK텔레콤·SK스퀘어' 인적분할 승인(1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