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2분기 실적. /그래픽=디미닛
통신3사 2분기 실적. /그래픽=디미닛

5세대(5G) 이동통신 가입자 1600만 시대다. 5G 품질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5G 신형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등으로 통신3사의 5G 가입자는 순증세를 보이고 있다.

가입자는 늘어나고, 이에 따른 통신3사의 실적도 개선되고 있지만 5G 품질과 직결되는 통신3사의 무선 네트워크 설비투자 비용(CAPEX)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눈길을 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올해 2분기 실적발표에서 시장 전망치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달성하며 합산 영업이익 1조1408억원을 기록했다. 이번 통신3사의 호실적은 기업간거래(B2B)와 미디어 등 비통신 신사업의 성과 확대 영향도 있지만, 무엇보다 주력 사업인 무선 통신사업(MNO)의 5G 가입자 증가 추세가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5G 가입자 수는 약 1600여명을 넘어섰다.


5G가 이끈 통신3사 실적...설비투자비는? 줄거나 그대로

올 하반기에는 애플의 '아이폰13'과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Z폴드3', '갤럭시Z플립3' 등 5G 스마트폰 출시가 줄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5G 가입자 수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5G 가입자는 늘고 있는 반면, 올 상반기 통신3사는 통신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투자 비용인 설비투자비(CAPEX)를 대체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SK텔레콤은 올해 2분기 유무선 설비투자비로 SK브로드밴드 합산 8492억원을 집행했다. 지난해 2분기에는 9178억원으로 상반기 누적 1조2000억원을 집행한 것에 비해 약 1000억원 가까이 줄어들었다. 

KT 또한 설비투자비를 줄였다. 올해 2분기 KT의 설비투자비는 57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늘었지만, 상반기 집행 규모는 8641억원으로 전년 상반기 대비 약 11% 가량 감소했다. 

LG유플러스도 이번 분기 설비투자비를 큰 폭으로 줄였다. 올해 2분기 LG유플러스의 설비투자 집행 규모는 48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7% 줄었다. 이 중에서도 무선 네트워크 부문의 설비투자비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절반 가까이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5G 품질논란 국정감사 주요 이슈로

통신3사는 이번 상반기 설비투자규모를 줄인 이유에 대해 계절성 요인이 크다고 설명한다. 통상 설비투자비는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통신사는 5G 주파수 할당 조건에 따라 올해 연말까지 28㎓ 기지국을 각사당 1만5000개씩 구축해야 한다. 현재까지 구축 완료된 5G 기지국 수는 약 125개로, 한참 모자란 수준이다.

통신3사가 목표 기지국 수를 채우기 위해 올 하반기에는 설비투자에 큰 비용을 집행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이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5G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투자는 계속 진행될 것이나 5G 공동망 투자를 통해 투자 비용 효율화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KT 측은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연간 CAPEX는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의 가이던스를 유지할 것"이며 "5G 단독모드(SA) 관련 CAPEX 측면은 소프트웨어(SW) 업그레이드 정도이며 이미 완료됐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역시 "하반기에 새로운 플래그십 단말기들이 나온다 하더라도, 많은 비용 지출이 수반된 사업전개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통신3사의 실적 잔치 이후, 터지지 않는 5G 품질에 화가 난 일부 소비자들은 통신3사에 소송을 예고하고 나서 주목된다. 상용화 2년이 넘은 지금도, 통신3사가 5G 인프라가 미비한 상태에서 5G 서비스를 개통·판매하고 설비투자 규모를 줄이며 채무불이행을 하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에 오는 10월 예정된 국정감사에서도 5G 28㎓에 대한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일 발간한 국회입법조사처의 '2021 국정감사 이슈 분석' 보고서에서는 올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감 이슈 중 하나로 5G 28㎓ 추진 방향 문제를 꼽은 바 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