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IPO)를 앞둔 카카오페이가 금융당국의 규제에 발맞춰 현행 서비스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중개에 그치고 있는 여타의 인터넷 플랫폼과 달리 라이선스를 갖춘 법인을 직접 확보해왔기 때문이다.
8일 카카오페이는 입장문을 통해 "카카오페이 앱 내에서 이뤄지는 펀드 투자는 증권사인 카카오페이증권이 관련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면서 "상품 선별 및 설명, 펀드 투자 내역 조회 화면 등은 모두 카카오페이증권 서버에서 제공하는 화면으로 카카오페이증권이 관리하고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제 후 남은 금액을 사용자가 지정한 펀드에 자동투자되도록 해주는 동전 모으기 등 투자금의 입금 역시 선불충전금인 카카오페이머니가 아닌 카카오페이증권 계좌에서 송금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보험의 경우 카카오페이 앱 내 보험서비스는 금융상품판매대리/중개업 자회사인 KP보험서비스(구 인바이유)가 관련 법령에 맞춰 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다"면서 "카카오페이 앱에 노출되는 보험상품에 대한 소개와 보험료 조회, 가입 등은 보험대리점인 KP보험서비스 또는 해당 보험회사에서 직접 진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내대출한도 서비스의 경우 지난해 6월 혁신금융서비스 사업자로 지정 받아 제공해왔다"며 "오는 24일 본격 시행되는 금융소비자법 시행에 맞춰 지난 7월 판매대리중개업자(온라인모집법인) 라이선스를 신청했고, 현재 관련 절차가 진행 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당국이 인터넷 플랫폼 기반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보험과 펀드 등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대해 '불법'이라는 낙인을 찍었지만, 카카오페이는 기존 제도하에서 서비스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기존의 금융 서비스가 갖고 있던 불편함을 해소하고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 마련에 집중해 왔다"며 "앞으로도 금융 소비자의 편익을 높이고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금융혁신 위축" 금소업 규제에 우는 핀테크 업계...왜?
- 네이버 '쇼핑'이냐, 카카오 '톡'이냐...'구독 서비스' 大戰
- '스마일페이' 업은 신세계 vs '통합' 전략 롯데…유통가 '페이 전쟁'에 쏠리는 눈
- "벌써 조단위?" 판 커지는 웹툰시장...이젠 中 자본까지 러브콜
- '오픈마켓' 띄우는 컬리...IPO 앞두고 수익성 확보 안간힘
- [장 의장의 UX 혁신] 핀테크와 사용자 경험
- 카카오페이지에 '배구 영웅' 김연경 뜬다
- 비상장 주식 투자자들의 관심 종목은? 카카오페이-두나무, 첫 톱3 진입
- 진화하는 '카카오톡'...韓 최대 마케팅 플랫폼으로 발돋움
- [카드사 갑질에 우는 핀테크下] 빚투 청년 털어가는 카드사...빅테크 규제혁신 필요해
- 뿔난 네이버페이 "신용카드 보다 비싸다? 실질 수수료 0.2~0.3%"
- 마지막 IPO 대어 '카카오페이' 오늘부터 공모주 청약...전국민 균등배정 첫 도입
- 카카오페이 보험 나온다...디지털 손해보험사 본허가 획득
- 쇼핑하듯 '실제 후기' 보고 고른다...카카오페이 GA, 보험 서비스 선봬
- "네이버·카카오 금융업 진출? 소비자 후생 위한 행동이 중요"...금소법 개정방향 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