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ICTK 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을 적용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eSIM)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PUF-eSIM은 제조 공정에서 물리적으로 생성되는 반도체의 미세구조 차이를 이용해 복제나 변경이 불가능한 '인본 ID(Inborn ID)', 일명 '반도체 지문'을 활용해 보안을 강화하는 PUF 기술과 가입자 인증 기능을 하나의 칩셋으로 구현한 것이다. 이 PUF-eSIM이 인증키와 데이터를 암호화하면 LTE 망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부팅 시 위·변조된 펌웨어 실행 차단 ▲디바이스-서버간 E2E 보안 통신 강화에 사용될 수 있다.
강화된 보안성은 물론, 작은 크기도 PUF-eSIM의 장점이다. PUF-eSIM의 크기는 6㎟에 불과한데, 이는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나노 유심(Nano-USIM)의 1/18 수준이다. 작은 크기 덕분에 웨어러블이나 산업용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전자부품협의회의 AEC-Q100인증도 획득해 차량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제작단가도 기존 eSIM 대비 30% 절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향후 PUF-eSIM을 공공분야에 확산시키기 위해 국가공인 보안인증인 암호모듈검증(K-CMVP) 획득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이번에 개발한 PUF-eSIM은 eSIM 기본 기능인 가입자 인증 뿐만 아니라 강화된 보안성과 작은 크기만으로도 높은 경쟁력을 갖춘 제품"이라며 "LG유플러스는 무선 사물인터넷(IoT) 사업영역 전반에 PUF-eSIM을 확대하고, 가격경쟁력 또한 극대화할 수 있도록 폭 넓은 보급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인싸뷰] 1인 가구도 '찐팬'으로...홀맨 친구 '무너'로 MZ세대 잡아라
- "U+알뜰폰 유심, 이제 집앞 편의점에서 구매하세요~"
- "군인 장병 잡아라" 통신3사, 군인 통신비 할인경쟁 나섰다
- 한국 찾은 넷플릭스 부사장, 망사용료 기존입장 되풀이...'통신사 협상' 의지 피력
- 국내 통신사들과 협력 외친 넷플릭스...'망 사용료' 부과는 아직 미지수
- LG유플러스 "PASS 앱으로 QR체크인하고 기부 실천하세요~"
- LGU+, 3분기 영업이익 2767억원...전년비 10.2% 증가
- LGU+, 5G·IPTV 가입자 증가에 3분기 호실적…영업이익 2010년 이후 최대(상보)
- LGU+ '유무선-신사업' 양날개 달고 11년 만에 분기 최대 실적(종합)
- LG유플러스, 환경운동연합과 농수로에 '개구리 사다리' 설치 활동 나서
- "콘텐츠 시청 대신 체험하세요"...LG유플러스, XR플랫폼 'U+다이브' 출시
- 정부, e심 활성화 소매 걷었다...내년 9월 1일부터 시행
- 올 하반기 e심 도입 본격화...차기 삼성전자 스마트폰 e심 탑재될까
- KT, 'e심' 도입 맞아 '원폰 투넘버' 듀얼번호 서비스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