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2022년 1분기 상용화를 목표로 '클라우드-네이티브(Cloud-Native) 기반 차세대 5세대(5G) 코어' 장비 구축을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클라우드-네이티브는 각종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앱)의 설계 및 제작이 클라우드 환경을 기준으로 이뤄진다는 것으로, 하드웨어 장비와 비교해 빠른 업데이트를 통한 서비스 출시 시간 단축 및 안정성 확보 등의 장점을 가진다.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차세대 5G 코어'는 현재 글로벌 통신사들이 높은 관심 속에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차세대 5G 코어는 클라우드-네이티브의 장점을 그대로 받아들여 신속한 신규 기능을 적용, 서비스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연한 소프트웨어 이동 및 실시간 복구 기능을 기반으로 망 오류나 장애 발생 시 빠른 복구가 가능하다.
특히, 초고속∙대용량의 5G 서비스를 위한 패킷 가속 처리, 경로 최적화, 다중 흐름 제어 등과 관련한 최신 기술들이 적용돼 기존의 물리 기반 대비 트래픽 처리 효율을 최대 50%까지 향상될 전망이다. 이밖에도 별도의 데이터센터를 필요로 하는 프라이빗-5G 같은 특화망을 보다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국지적 트래픽 폭증 같은 상황에서도 클라우드 상에서의 빠른 자원 할당으로 품질 저하 없는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박종관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담당은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차세대 5G 코어 구축을 통해 고객들에게 새롭게 개발되는 네트워크 기능들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선보일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5G 이용에 도움이 될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아리아, 고속도로에서 사고 나면 어떻게 해?" SKT '누구' 고속도로 정보도 제공
- SK텔레콤, 3분기 영업이익 4000억원...전년 동기 대비 11.7% '쑥'(1보)
- "통신 끌고 신사업 밀고" SKT, 분할 전 마지막 실적도 날았다(종합)
- 통신3사 '5G-신사업' 쌍끌이로 3분기 연속 영업익 1조 돌파…망품질 이슈는 '숙제'
- 다시 뛰는 액션스퀘어...SKT-MS가 찜한 '앤빌' 12월 출시
- SKT ESG 캠페인 '위잉', 2021한국PR대상 최우수상 수상
- SK텔레콤 '동반성장 프라이드 어워드 2021' 개최
- 고려대 응원 OT, SKT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에서 열린다
- "수험생 선물 팡팡!" SK텔레콤 '수고0페 2021' 개최
- '이음5G' 시대 본격화...네이버, 5G 특화망 1호 사업자로 등록
- 2022년, 이음 5G 확산 원년...장비부터 5G 융합서비스까지 기회의 문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