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에서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과 누바 아페얀(Noubar Afeyan) 모더나 공동 설립자 겸 이사회 의장 / 사진=삼성전자 제공
16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에서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과 누바 아페얀(Noubar Afeyan) 모더나 공동 설립자 겸 이사회 의장 /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5년 만에 오른 미국 출장길에 모더나와 버라이즌 경영진과 잇따라 만나며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은 이 부회장이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누바 아페얀(Noubar Afeyan) 모더나 공동 설립자 겸 이사회 의장을 만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 부회장과 아페얀 의장은 코로나19 백신 사업의 공조 방안과 향후 추가 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모더나와 mRNA 백신 생산 계약을 체결하고 8월부터 생산에 나선 바 있다. 지난 10월부터는 삼성이 생산한 백신이 국내에 출하돼 전국의 방역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 버라이즌 본사에서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오른쪽)과 한스 베스트베리(Hans Vestberg) CEO / 사진=삼성전자 제공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 버라이즌 본사에서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오른쪽)과 한스 베스트베리(Hans Vestberg) CEO /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어 이 부회장은 17일(현지시간) 미국 이동통신 사업자인 버라이즌의 한스 베스트베리(Hans Vestberg) 최고경영자(CEO) 등 경영진을 만났다.

이 자리에선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의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버라이즌과 약 7조9000억원 규모의 5G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두 회사는 향후 6G 등 차세대 통신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와 차세대 통신은 이 부회장이 지난 8월 출소 후 밝힌 3년 간 240조원 투자 계획의 핵심 분야로 꼽힌다. 당시 삼성은 바이오 산업을 반도체를 이를 차세대 주력사업으로 키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달성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5G 이후 차세대 통신시장의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