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이버 제공
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와 카카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소 정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최근 바뀐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에 따라 고위험군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감염의심자는 코로나19 신속항원 검사나 자가검사키트 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경우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는다.

네이버 이용자는 검색과 지도에서 신속항원 검사·검사병원 등을 검색하면 신속항원 검사를 실시중인 병원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 검색 결과에선 PCR 검사기관,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등 유형별 정보를 선별해 볼 수 있는 별도 필터를 제공한다.

네이버 측은 "이용자가 신속항원 검사소와 PCR 검사기관 정보를 구분해 확인할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정보 등을 활용해 정보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사진=카카오 제공
/사진=카카오 제공

 

카카오맵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검색창에서 신속항원 검사를 직접 검색하거나 검색창 하단 '신속항원검사'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용자는 선별 진료소, 임시선별 검사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호흡기전담 클리닉 등 검사 가능한 모든 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검사 기관은 지속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카카오맵에서 안내하는 신속항원검사 기관 정보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공개된 API,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제공하는데이터를 활용해 제공된다.

카카오맵 관계자는 "코로나19 검사 체계 개편으로 신속항원검사 기관에 대한 검색 수요(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기능을 도입했다"며 "카카오맵은 앞으로도 위치정보 기능과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