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서비스 업체 피블은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을 디파이(DeFi)를 결합시킨 플레이 투 언(P2E) 게임 '보물행성'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보물행성은 미래 행성채굴 시대에 살고 있는 NFT 캐릭터가 우주의 행성에서 보물을 채굴, 수익을 올리는 P2E 채굴게임으로, NFT에 디파이기능까지 결합해 P2E 수익은 물론 이자농사까지 가능하다.
특히 보물행성은 기존 P2E 게임들이 수익을 올리기 위해 플레이어들이 노동의 강도로 게임을 해야만 해왔던 것과 달리 NFT와 AI에 의해 자동 동작되는 시뮬레이션 방식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개발돼 NFT 탑재만으로 수익 창출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보물행성은 피블이 게임스튜디어와 합작으로 개발해 퍼블리싱을 맡고 있으며, 최근 사전 서비스 사이트를 오픈하고, NFT 발행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또 보물행성에 탑재된 '플레이메타' 플랫폼은 피블이 개발한 솔루션으로 게임업체들에게 NFT, 디파이, 게임파이(GameFi), 토큰, 지갑 등의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과 컨설팅을 제공해 기존 게임 지식재산권(IP)을 단기간에 P2E 서비스로 발전시켜주는 플랫폼 솔루션이다.
피블 프로젝트의 PIB토큰은 보물행성에서 기축통화의 역할을 담당, PIB 결제를 통한 P2E 미션 참여, PIB 단일 스테이킹, PIB-BOMUL 토큰 유동성 공급등을 통해 PIB 토큰의 가치를 올린다는 설명이다. 피블팀은 현재 다양한 게임업체와 협력, 캐쥬얼 게임에서 소셜카지노등의 다양한 프레이메타 기반의 NFT-P2E 게임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보람 피블 대표는 "보물행성을 필두로, 현재 다양한 업체와 플레이메타 기반의 NFT-P2E 게임을 진행하고 있다"며 "피블은 올해 NFT 와 디파이 그리고 P2E를 통해 대형 게임사들이 하지 못하는 우리만의 혁신적인 방법으로 성공사례를 시장에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