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이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일회성 비용 등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부진했다. 10일, 2021년 연간 실적과 4분기 실적을 잠정 공시했다.
크래프톤은 10일 지난해 연간 실적 및 4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한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연간 매출은 1조8863억원, 영업이익 6396억원, 당기순이익 5199억원이다. 매출은 13%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17% 줄었다. 연간 해외 매출 비중은 94%를 달성하며 글로벌 게임사로서의 영향력을 강화한 모습이다.
4분기만 보면 매출은 4440억원, 영업이익은 430억원이다. PUBG: 배틀그라운드를 중심으로 PC, 모바일 부문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PC게임의 4분기 매출액은 1149억원, 연간 매출액 3990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에 배틀그라운드의 무료 서비스 전환을 준비했으며, 지속가능한 라이브 서비스 구조를 확립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또한 다양한 유료화 상품군 개발을 통해 PC 인게임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도 전년 전체와 대비해 4배 이상 상승했다.
모바일 분야는 4분기 3037억원, 연간 매출 1조4172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 게임 부문은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4분기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의 매출 상승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의 성장, 뉴스테이트 모바일의 출시가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
4분기 영업비용은 전분기 대비 744억원 증가한 4010억원, 2021년 연간 영업비용은 전년 대비 3501억원 증가한 1조2467억원을 기록했다. 마케팅 비용 증가, 계절적 비수기 영향, 일회성 주식보상비용 발생 등으로 영업비용이 일부 증가했다.
김창한 크래래프톤 대표는 "대체불가능한토큰(NFT) 기반의 크리에이터 경제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네이버제트 등 경쟁력 있는 파트너와 협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C2E(Create to Earn) 생태계 육성을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소라 기자 sora@techm.kr
관련기사
- 크래프톤도 디지털 휴먼 시장 뛰어든다...게임 캐릭터부터 가수까지 활용도 높인다
- 크래프톤, '제페토' 운영사 네이버제트와 'NFT 메타버스 플랫폼' 띄운다
- 2022년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시동...PWS 오는 23일 개막, 7주간 대장정
- 'P2E 개척자' 위메이드, 韓 게임사 순익 '톱3' 진입...5000억 육박
- 크래프톤, 지난해 영업이익 6396억원...전년대비 17% 감소(1보)
- 크래프톤, 2022년 '도전의 해' 선언...신작-신사업으로 매출 2조 넘는다
- 김창한 크래프톤 "게임의 본질은 재미...P2E 아닌 C2E로 간다"
- 뉴스테이트 부진 이유? 김창한 "기대치 너무 높았다...충성 고객 늘고 있어 고무적"
- 장병규 크래프톤 "자사주 매입할 것, 중장기적 관점으로 신뢰해달라"
- 크래프톤, 언아웃 방식으로 게임사 '5민랩' 230억원에 인수
- 아시안게임 정식종목 배그 모바일...2022년 e스포츠 리그 로드맵 발표
- 스매쉬컵서 젠지 우승 이끈 '이노닉스' 나희주 "PWS, PCS 모두 우승하겠다"
- 리빌딩 해도 강한 젠지e스포츠....배틀그라운드 스매쉬컵 우승
- [커피한잔] 전설들과의 이별...'피오'-'에스더'가 배틀그라운드로 이룬 꿈
-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 3월도 책임경영 속도...주식 또 사들였다
- 인도에 1000억원 투자한 크래프톤, 현지 오디오 플랫폼 '쿠쿠FM' 시리즈 B 참여
- 뉴스테이트에서 어몽어스를?...크래프톤, 신규 콘텐츠 업데이트
- 뉴스테이트 e스포츠 시동거는 크래프톤...오픈 시리즈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