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연방국가 벨라루스에서 설립된 게임사 워게이밍은 2010년 10월 MMO 액션 게임 '월드 오브 탱크'를 선보였습니다. 월드 오브 탱크는 출시 후 10년 넘게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국민 게임'으로 꼽힙니다. 2014년 러시아에서 동시 접속자 수 100만명을 돌파했고, 현재도 전체 이용자 수 절반 이상이 러시아 이용자입니다.
하지만 워게이밍은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모든 사업을 철수합니다. 지난 5일 워게이밍은 러시아와 벨라루스 지역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진행 중이던 게임 사업은 레스타 스튜디오로 이관했습니다. 워게이밍은 향후 레스타 스튜디오와 제휴를 진행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며 러시아 및 벨라루스 지역 철수를 못박았습니다.
워게이밍은 "이번 결정으로 회사는 이익을 얻지 못할 것이고 오히려 이러한 결정의 직접적인 결과 상당한 손실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모든 법률을 준수하고, 직원들의 안전과 지원을 보장하면서 레스타 스튜디오 이관을 완료하겠다"며 "모든 라이브 제품은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계속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단 러시아와 벨라루스 지역 서비스의 수익은 워게이밍이 받지 않습니다.
이번 결정은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 개선 행보의 일환으로 여겨집니다. 워게이밍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전세계에서 광고를 전면 중단하고, 전쟁 관련 이미지 역시 삭제했습니다.
지난 3월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옹호한 크리에이터 디렉터를 해고했습니다. 세르게이 버르카도프스키 워게이밍 디렉터는 2월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러시아 연방군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군사작전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워게이밍은 즉각 "그의 개인적 의견은 우리 기업 입장과 일치하지 않는다"며 그를 해고했습니다.
내년 신작 출시를 앞둔 워게이밍은 '1위 시장' 러시아를 포기하는 대신 유럽과 북미, 아시아 지역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워게이밍은 "우리는 미래 비즈니스에 대해 확신을 갖고 있다"며 "유저들에게 양질의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매출 최고의 시장을 포기한 워게이밍이 미래 좋은 성적표를 받아들 수 있을지 무척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에도…우크라이나 정상가동 중인 이유
- [크립토 브리핑] 러시아, 천연가스 판매에 비트코인 결제 추진...비트코인 연일 상승세
- [글로벌] 페북·인스타 차단한 러시아…유튜브의 서비스 중지 '만지작'
- [글로벌] 과학기술도 고립되는 러시아...동물 인터넷 '이카루스' 중단됐다
- [글로벌] 안드로이드에서 쫓겨난 러시아, 중국 화웨이 OS에서 광명 찾나
- [글로벌] 러시아, 국제우주정거장 협력 중단하나..."제재 해제해야 관계 회복 가능"
- [글로벌] '반려동물의 왕국' 미국이지만...견주 95%는 사료 지침 몰라
- [글로벌] 페이스북 "우크라 군인 계정에 대한 벨라루스 해킹 공격 격화"
- [글로벌] 구글, 러시아 하원 유튜브 채널 폐쇄...러시아는 강력 반발
- [글로벌] "러시아, 서방 제재에 ISS 사업 철수"...중국과 우주 산업 협력 나서나
- [글로벌] 구글, 러시아서 파산 신청했다...서방 기업들의 탈출 러시
- [글로벌] 유튜브, 우크라이나 전쟁 콘텐츠 7만건 삭제..."주요 폭력 사건 왜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