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술·인프라 없이도 손쉽게 디지털 보증서 발행

김은경 신세계아이앤씨R&D담당 상무(왼쪽)와 노진우 헥슬란트 대표가 서울 중구 신세계아이앤씨 본사에서 NFT 기반 디지털 보증서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신세계아이앤씨 제공
김은경 신세계아이앤씨R&D담당 상무(왼쪽)와 노진우 헥슬란트 대표가 서울 중구 신세계아이앤씨 본사에서 NFT 기반 디지털 보증서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신세계아이앤씨 제공

 

신세계아이앤씨는 블록체인 기술 기업 헥슬란트와 손잡고 유통업체에 특화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개발에나선다고 16일 밝혔다.

두 회사는 지난 15일 서울 중구 신세계아이앤씨 본사에서 대체불가능한토큰(NFT) 기반 디지털 보증서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이들은 이번 협약으로제조, 유통사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NFT 기반 디지털 보증서 서비스 구축에 협력한다.

신세계아이앤씨는 SaaS형 디지털 보증서 발행 솔루션을 개발한다. 이 솔루션은 블록체인 기술이나 인프라가 없더라도 손쉽게 디지털 보증서를 발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모바일 앱과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방식으로 연동할 수 있어 이용 탄력성이 높고, 대량의 보증서도 자동으로 발행 가능하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타 지갑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지갑을 생성할 수 있어 디지털 보증서 저장 및 관리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헥슬란트는 가상 지갑 솔루션 '옥텟(Octet)'을 제공한다. 옥텟은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개발자 도구로, API를 통한 가상자산 입출금 시스템, 보안 등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헥슬란트는 가상자산 지갑 솔루션 중에서는 최초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를 취득해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두 회사는 연내 서비스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디지털 보증서로 제품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유통사, 명품 브랜드사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추후에는 리셀 플랫폼과 연동해 이용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김은경 신세계아이앤씨(신세계I&C) R&D 담당 상무는 "위변조가 불가한 블록체인 기반 NFT의 특징을 활용해 고객과의 신뢰도 높은 거래를 요구하는 유통업계의 디지털 보증서 도입이 가속화 되고 있다"며 "이번 협업으로 블록체인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고, 관련 전문 기술이나인프라를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기업들이 손쉽게 NF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진우 헥슬란트 대표는 "명품 브랜드 및 유통 업계에서 위변조는 중요한 이슈이며 블록체인 기반의 NFT도입을 통한 증명서 발급은 앞으로 소비자에게 신뢰 있는 거래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옥텟을 통해 앞으로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