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다음달 1일 대통령 소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를 설치한다고 28일 밝혔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내걸은 핵심 공약으로, 모든 정부 부처를 하나로 연결해 단일 사이트에서 정보와 행정 처리를 제공하는 '원사이트 토털 서비스'가 핵심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선제적, 맞춤형 서비스 제공 ▲인공지능(AI), 데이터 기반 과학적 행정 구현 ▲국민, 기업, 정부 협력을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추진한다.
위원회는 민간 전문가와 행안부 장관, 기획재정부 장관, 과기정통부 장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등 약 30명으로 구성된다. 또한 분야별 분과 및 자문단을 구성해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과정에서 전문성을 확보해나갈 예정이다.
향후 위원회는 5대 중점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5대 중점 추진과제는 ▲국민과 기업이 단기간에 개선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 선도프로젝트 추진 ▲기관 간 정보 공유 확대 등을 통한 선제적 서비스 제공 ▲AI·데이터 기반 정책 의사결정 지원체계 구축 및 정부 업무방식 혁신과 민관 협업 활성화 ▲민관 혁신 생태계 조성 ▲새로운 보안체계 구축 등이다.
정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청과정을 간소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가 개방한 고품질 데이터와 디지털플랫폼 정부 인프라를 통해 혁신사업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관행과 경험 중심 의사결정에서 벗어나 AI·데이터 등으로 과학적 의사결정을 구현하고, 업무방식을 혁신한다는 방침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행정안전부는 그간 축적돼온 디지털 정부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위원회와 함께 데이터에 기반한 행정을 통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대국민 공공서비스를 개인맞춤형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정부 운영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하며 향후 10년, 20년을 감당할 새로운 정부시스템을 만드는 과업"이라며 "행안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서비스를 개선하고, 인프라와 생태계 조성 등으로 기업 성장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