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핵심공약이자 정부 주요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 성공 여부는 강력한 '보안'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각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에 흩어져있는 데이터를 통합한다는 특성상 사이버 공격에 더 취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4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서울 강남 보코서울에서 '제 5회 AI시큐리티 데이' 세미나를 열고 디지털플랫폼정부 보안 방향과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기조연설을 맡은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출범준비단 단장은 "현재 추진 중인 디지털플랫폼정부가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플랫폼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면서도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다보니 아무래도 사이버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그는 규제 개선 및 기술 기반 '신(新) 보안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고 단장은 "망분리 및 클라우드 보안인증 제도를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제로트러스트, 블록체인, AI등 최신 보안기법을 도입하고 확산하겠다"며 "국민들이 오용과 남용을 걱정하는 개인정보 측면에서도 활용 이상행위 탐지 및 재식별 방지 체계를 마련함과 동시에, 마이데이터 전 과정의 보안과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원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또한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신기술 기반으로 구현된 디지털플랫폼정부가 국민 편의성은 물론, 기업혁신과 공공 의사결정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하지만 동시에 흩어져있는 모든 공공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처리하는 특성상 고도화·지능화된 사이버 공격, 특히 AI를 이용한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앞으로 발생할 보안 위협의 상당한 부분이 AI를 통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은 AI 기반 보안 기술이 적절할 것이라고 입을 모아 얘기한다"며 "향후 KIS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국내 유망 AI보안 기업들을 육성하고 지원할 것이며, 실질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성장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 2차관은 AI보안을 차세대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그는 "안전이 내재화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축하기 위해 사이버보안이 강화돼야 한다"며 "과기정통부는 사이버보안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한편, 신시장 창출 면에서 AI보안 산업을 차세대 보안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설명했다.
인증제도 개선, 인력양성 등 구체적 방안도 제시했다. 박 차관은 "AI 보안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을 적극 육성하고 국가 데이터셋을 개방하는 한편, 인력 양성에도 힘쓰겠다"며 "신시장 창출 뿐만 아니라 인증제도 개선을 통해 혁신 제품들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는 등 AI 보안이 확산되도록 기반을 다져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향후 AI 자체에 대한 보안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민옥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AI연구소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은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는 만큼 위협도 데이터에 집중된다"며 "AI 사전학습 모델이 보유한 데이터를 누군가 악의적으로 조작한 경우, 또는 AI간 협업이 이뤄질 때 소통과 거래에 대한 보안이 이슈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尹 정부, 공공데이터 개방·통합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정부 일하는 방식 바꾼다"
- [尹정부 출범] ②'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으로 '일 잘하는 정부' 만든다
- [尹정부 출범] ③'ICT 홀대론' 넘어설까…새 정부 바라보는 업계 현안은
- 尹 핵심 공약 '디지털플랫폼정부' 첫 걸음…7월 대통령 소속위원회 설치
- 박윤규 과기정통부 차관 "AI 보안,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
- 'K-보안' 주목하는 尹 행보에...업계 "긍정적이지만 구체화 필요"
- "초당 최대 68GB" 중소·영세기업 노리는 디도스 공격, '사이버대피소'로 막는다
- 김호원 부산대 교수 "웹 3.0은 가치의 인터넷"...블록체인-AI로 구현한다
- 닻 올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 尹 "공공서비스, 민간 수준으로 개선"
- "랜섬웨어에 속수무책" 정부, '회복 탄력성' 중심으로 대응 패러다임 바꾼다
- KISA, '2022 블록체인 누리단' 발족..."국민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 발굴"
- 마이데이터 전 분야 확산 나서는 정부 "데이터 활용도가 국가·기업 성장 핵심키"
- 국산 'AI 반도체' 키우는 정부…"데이터센터에 적용해 K-클라우드 경쟁력 강화"
- 'AI바우처' 확대하는 과기정통부, 2023년 700억 투입해 기업 지원
- 공공데이터 개방 강조한 尹정부, 정작 활용도는 낮다?…"양보다 질에 집중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