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2 양자정보주간'을 맞이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 본원에서 개최한 '양자기술 산업화 성과발표 및 미래양자융합포럼 1주년 기념식'을 통해 양자 분야 기술개발 및 상용화 성과를 발표했다.
1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지난 2년간 과기정통부 디지털 뉴딜 사업을 수행한 'SKB 컨소시엄'은 광주시, 대전시 등 5개 기관 6개 구간, 연세의료원 등 6개 기관 11개 구간 등 총 17개의 공공·의료·산업분야에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를 구축·운영하며 응용서비스를 발굴 적용했다고 밝혔다. SKB 컨소시엄은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유알정보기술로 결성됐다.
SK텔레콤은 지난 2011년 양자기술연구소를 설립한 이래 10년 이상 꾸준하게 양자관련 연구를 선도해왔으며, 지난 2018년IDQ 인수 이후로도 양자관련 원천기술을 폭넓게 확보하며 국내에서 다양한 실증사례와 사업실적을 남겼다. 이 회사는 양자암호통신기술로 양자키분배기(QKD), 양자난수생성기(QRNG)를 중심으로 양자암호통신 핵심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다수의 실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생체인증 벤처기업 옥타코가 내놓은 지문인식 보안키 '이지퀀트(EzQuant)'에 QRNG 기술을 적용하는 등 양자암호장비 부품과 응용 단말 국산화 노력에도 앞장서고 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지난해 12월 자사가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통합관리 규격을 ETSI(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에서 국제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국가 시험망인 '코렌(KOREN)망에서 서로 다른 통신장비사끼리 Q-SDN(양자암호통신망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연동 실증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기도 했다.
올해 SKB컨소시엄은 3개 기관으로부터 3개구간에 대한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 과제를 수주했다. 또한, 산업공단의 가스누출 감지에 활용되는 초정밀 가스센서 기술 등을 적용할 계획을 발표했다
SK텔레콤은 IDQ와 함께 QKD 분야에서 최대 120km까지 전송할 수 있는 기술과 파장분할다중화(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개발해 시범 인프라에 적용할 계획이다. 올해 실증을 통해 가격경쟁력이 있는 상용망구축에 한걸음 다가서게 되는 것.
초정밀 가스센서에 적용된 양자센싱 기술은 미세한 크기의 양자를 검출해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는 것으로 환경에 유해한가스를 미세한 양까지 탐지할 수 있으며, 양자센싱 기술은 향후 자율주행, 위성, 바이오 등 다양한 첨단 분야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SK텔레콤과 SKB는 앞으로도 양자 산업 활성화를 선도하며 양자 미래 기술을 지원하고 상생 협력과 인력 양성 등 사회적 가치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양자기술'에 빠진 통신3사...'안전한 통신망' 위해 경쟁력 강화 나섰다
- 보안에 강한 SKT 양자암호폰 '갤럭시퀀텀3' 출시 임박...M53으로 나온다
- 양자컴퓨터 시대 준비하는 통신3사, 해킹 걱정 없는 통신을 향해
- 양자 생태계 강화하는 SKT, 암호분야 강소기업과 협력 확대
- LG유플러스,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 국책과제 3년 연속 주관
- SKT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팀보타' 특별전 연다
- [카드뉴스] 이프랜드, '팀보타' 특별전 연다... "메타버스에서 오프라인 전시 만나기"
- SKT-SK하이닉스, AI·반도체 인재양성 위해 'SK ICT커리큘럼' 만든다…서울대 등에 강의 개설
- 양자암호통신 글로벌 표준 선도하는 SKT, 신기술 2건 ITU-T 국제 표준화 과제로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