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챗GPT 열풍으로 불 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경쟁에 합류한다. 챗GPT 보다 한국어를 6500배 더 학습한 '하이퍼클로바X' 출시해, 비영어권에 특화된 초대규모 AI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AI 챗봇을 탑재한 검색서비스 '서치GPT'도 올 상반기 중 내놓을 예정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2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DEVIEW) 2023'에서 "자체 개발한 초대규모 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를 업그레이드한 하이퍼클로바X를 7월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이퍼클로바X는 고객사가 갖고 있는 데이터와 연동시키면, 고객사 특성 맞는 초대규모 AI로 변신한다. 고객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답변을 줄 수 있는 상태로 탈바꿈한다"고 설명했다.
경쟁력은 비영어권에 특화된 AI라는 점으로 꼽았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인공지능 기술총괄은 "챗GPT와 비교해 한국어를 6500배 더 학습해, 사용자가 바라는 AI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며 "특정 언어와 문화를 가장 잘 이해한 초대규모 AI를 통해 언어적 장벽으로 발생한 데이터 신뢰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챗봇을 탑재한 검색서비스 서치GPT도 올해 상반기 중 출시한다. 이는 20년 축적된 네이버 검색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최적의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도와준다. 가령 제철 과일 주문을 위해 검색을 하면, 네이버 블로그나 쇼핑 정보를 기반으로 요즘 가장 많이 판매되는 과일 종류나 실제 구매가 가능한 누리집 등을 추천해주는 방식이다.
김용범 네이버 서치US 치프 사이언티스트는 "네이버 검색 엔진에 기반해신뢰성이 높고 정확하다"고 말했다. 정보의 최신성과 신뢰성, 네이버 블로그·카페·지식iN 등 서비스에 축적된 모든 정보와의 연결성,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텍스트·이미지 등 복합적 정보를 함께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능을 갖췄다는 의미다.
초거대 AI의 고도화·경량화 구현에 삼성전자와의 협력도 강조했다. 그 일환으로 AI 반도체 개발을 위해 협업을 강화한다. 곽용재 네이버클라우드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삼성전자와 함께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연산과 학습, 추론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갖추면서도, 기존 그래픽처리장치(GPU)의 10분의 1 크기에 4배 이상 전력 효율성을 갖춘 경량화된 인공지능 반도체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궁극적으로 국내 AI 산업 경쟁력 향상에 나서겠다는 목표다. 초거대 AI 기술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비즈니스 간 시너지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를 AI 전환으로 이끄는 하이퍼스케일 기술 기업으로의 도약을목표로 한다.
김유원 대표는 "특정 언어와 문화를 잘 이해하고, 국내 산업·환경에 맞는 초대규모 인공지능을 위해선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라며 "자체 인프라·기술 투자를 이어온 네이버가 초대규모 인공지능 상용화를 주도해, 글로벌에서도 경쟁력 있는인공지능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테크M 이슈] 인터넷 네이버, 테크 혁신 나섰다...로봇 오피스 이어 주유소 '개척'
- [네이버 데뷰2023] 챗GPT 잇는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 7월 출격
- 'AI 상용화 초읽기' 한국판 챗GPT...네이버-카카오 통해 대중화 꿈꾼다
- [네이버 데뷰2023] '파파고'가 여행 필수앱으로 거듭난 비결은
- [네이버 데뷰2023] "실수 있어도 오류는 없다" 클로바 OCR 모델이 국제대회 휩쓴 비결
- [네이버 데뷰2023] AI와 만난 네이버 검색..."정답+a 보여준다"
- [네이버 데뷰2023] 日 시장 공략 나선 클로바...핵심은 'AI 클라우드 카메라'
- 2월에도 '반도체 한파'는 현재진행형...D램 가격 1달러대 유지
- [네이버 데뷰2023] "정답·탐색·반응·발견"...네이버 검색의 新무기 들여다보니
- [네이버 데뷰 2023] "더 똑똑해진 AI 요약이 온다" 네이버 AI 서비스 고도화
- [네이버 데뷰2023] "미국·유럽·일본도 '감탄'...웹툰 AI 시대 열어야죠"
- 챗GPT 대응 고심하는 정부…"TF·관계부처와 전략 신속 마련"
- CSAP SaaS '조력자' 네이버클라우드, 인증 획득 기업 81% 지원
- 챗GPT·바드 韓 시장 군침 흘리는데...네이버 AI 챗봇 '큐:', 강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