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은택 카카오 대표/사진=카카오
홍은택 카카오 대표/사진=카카오

 

홍은택 카카오 대표가 론칭한 카카오메이커스가 카카오식(式) 소셜임팩트 중추로 자리매김해 관심이 모인다.

카카오는 카카오메이커스가 누적 거래액 7000억원을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8월 6000억원을 넘어선 이래 약 7개월 만의 성과다.

지난 2016년 2월 첫 선을 보인 카카오메이커스는 홍은택 대표가 직접 론칭한 서비스로, 카카오의 소셜임팩트 '실험실' 역할을 해왔다. 홍은택 대표가 카카오커머스 대표를 맡으면서 카카오메이커스를 통해 다양한 사회공헌 사업을 전개하면서다. 

카카오메이커스는 수요를 파악한 뒤 제작하는 공동 주문, 주문 제작 방식을 통해 재고를 줄이는 제조업 혁신을 목표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제조사 및 창작자에게 생산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자와의 연결 기회를 제공하며 견고하고 지속적 성장세를 보여왔다.

특히, 주문 성공률이 99%에 달할 정도로 이용자들의 꾸준한 호응을 얻으며 출시 이후 2019년 1000억원, 2021년 5000억원의 거래액을 기록중이다. 지난 2월 기준 5820곳 이상의 제조사 및 창작자에게 생산 기회를 제공했으며, 254만 명 이상의 이용자가 동참해 2310만 여개의 제품이 판매됐다.

카카오 측은 "카카오메이커스는 카카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발맞춰 새롭고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선보이며, 환경, 사회 전반에 선한 영향력을 확산 시킬 수 있는 가치있는 시도들을 통해 주목받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2021년 8월 선보인 '제가버치'는 우리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이 제 값을 다 할 수 있도록 버려지는 농축수산물의 판로를 지원하고 있다. 생산자의 재고 부담을 낮추고, 생태계의 환경 비용을 줄이며, 수요-공급 균형을 맞춰 가격 안정화에 기여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현재까지 누적 거래액은 약 170억 원에 달하며, 매수한 농축수산물은 3500여 톤이다. 최근에는 배상면주가, 금산인삼협동조합 등과 공동 기획 상품 개발, 전통시장 소상공인 상품 신규 발굴 등을 통해 더 많은 먹거리가 제 값을 받을 수 있도록 품목을 보다 확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 기반을 넓혀 갈 계획이다.

버려지는 물건을 새로운 용도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새활용 프로젝트 '새가버치'는 쓰임을 다한 제품을 업사이클링해 기부와 환경 보호에 동시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친환경 활동이다. 지난해 2월부터 총 3회에 거쳐 새가버치를 진행했다. 1, 2기 프로젝트를 통해 양말 2만 켤레와 카디건 1000벌을 각각 제작해 취약계층 어린이와 어르신을 위해 기부했다. 현재 3기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며, 4기 프로젝트 모집을 완료했다. 향후 더 많은 이용자들에게 새활용의 가치를 알려 뜻깊은 프로젝트 참여를 독려하고, 제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도록 많은 아이템을 발굴해 갈 예정이다.

'에코씨드'는 카카오메이커스의 환경 기금으로, 이용자가 제품 주문 시 1건당 100원이 적립돼 환경 개선을 위한 활동에 쓰인다. 이용자가 직접 관심 있는 환경 영역을 선택하고, 카카오메이커스는 이용자가 선택한 비율에 따라 산림 조성 및 해양 환경 개선 사업에 에코씨드 기금을 사용한다. 지난해 약 3억9000만 원의 기금을 조성했으며, 미세먼지 방파제 숲 조성, 해양 쓰레기 정화, 폐선부지 활용 휴식 공간 조성 등을 위해 기금을 운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주문 제작 브랜드 'P.O.M(Peace Of Mind)'을 통해 수익금 기부를 위한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어린이 돕기, 강원도 산불 피해 복구 등 10차례의 캠페인을 통해 약 2억7000여 만원을 기부했으며, 지난 2월 튀르키예 지진피해를 돕기 위한 제품을 출시해 약 1억8000여 만원을 유니세프에 기부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사회와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다양한 상품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카카오메이커스는 올해 프로젝트의 내실을 강화하며 범주를 확장해 갈 계획이다. 제가버치의 경우 농축수산물에서 화훼 등 다양한 농가로 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지역 활성화를 위한 체험형 제품들도 새롭게 선보인다. 이 밖에 중소기업 판로 지원을 위해 오프라인에서 개최하는 페어쇼 등과의 연계 및 협업도 진행한다.

정영주 카카오 메이커스 실장은 "앞으로도 카카오의 ESG 경영 활동과 더불어 임팩트 커머스만의 뜻깊은 활동들을 지속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