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드래곤플라이' 임무 세부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NASA는 오는 2027년 무인 드론 탐사선 드래곤플라이를 발사한 후 2030년 '타이탄'을 탐사할 계획입니다.

미국 존스홉킨스 응용 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탐사선 드래곤플라이는 NASA 최초의 행성 간 회전익(헬리콥터) 방식의 탐사선입니다. 회전날개 8개로 구동되며 과학장비 '드래곤플라이 질량 분석기(DraMS)'가 탑재됩니다. 회전날개를 이용할 경우 무인 조종은 어렵지만 지형에 구애받지 않는 게 장점입니다.화성 탐사 헬리콥터 '인제뉴어티'는 30초 동안 3m 정도를 이동했는데요. 드래곤플라이는 약 8km씩 비행하는 게 NASA의 목표입니다.

이러한 드래곤플라이 탐사 지역은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입니다. 타이탄은 태양계에서 두번째로 큰 위성이며 지구를 제외하고 태양계에서 강과 호수, 바다의 형태로 표면에 액체가 있는 유일한 장소로 주목받습니다. 이 외에도 중력이 달과 비슷한 수준이고 대기 밀도는 지구의 4배나 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면 기온은 영하 179도로 무척 낮습니다.

드래곤플라이는 타이탄에서 탐사할 만한 장소를 발견하면 드릴(DrACO)을 이용해 1g 미만의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DraMS가 설치된 밀폐 공간 안에 넣습니다. 이후 레이저로 이온화해 타이탄 시료의 화학적 성분을 측정합니다. 이에 대해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멜리사 트레이너는 "초기 지구의 생물 화학 시스템에서 중요할 수 있는 화학 유형이 타이탄에서도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편 NASA는 2019년 드래곤플라이 임무를 발표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나섰습니다. 당시 NASA는 2026년 탐사선 드래곤플라이를 파견하고, 드래곤플라이가 2034년 타이탄에 도착한 후 2년 7개월 동안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점쳤습니다. 당시 짐 브라이든 NASA 국장은 "드래곤플라이는 타이탄의 상공을 날아다니며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발견하고, 생명체 기원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공해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2030년 드래곤플라이가 성공적으로 타이탄에 도착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