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중간요금제 '2차전'이 마무리됐다. 마지막 타자였던 KT가 신규 요금제 출시를 공식화하며 통신3사 모두 '민생 안정'에 동참하라는 정부 요구에 대한 답을 내놓은 모습이다.
정부는 통신사들이 내놓은 요금제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메시지를 내놨다. 연령별·구간별로 요금제가 세분화돼 선택권이 확대됐다는 이유다. 다만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복잡하다', '여전히 비싸다'라는 지적이 이어지자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5G 중간요금제 출시 마무리한 통신3사
올해 초, 윤석열 대통령은 통신3사에 물가안정을 위한 '자발적 고통분담'을 주문했다. 이에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중간요금제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통신3사와 협의해 이용자 수요가 많은 40~100GB 구간 요금제를 상반기 내에 출시하겠다는 계획이었다.
통신3사는 중간요금제 출시를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가장 먼저 답을 내놓은 곳은 SK텔레콤이다. 이후 LG유플러스가 움직였고, 이날 KT를 끝으로 모든 통신사가 신규 중간요금제를 출시했다.
먼저 SKT는 '5G 맞춤형 요금제'를 내놨다. 기존 요금제인 '베이직플러스(24GB, 5만9000원)'에 ▲월 3000원(+13GB) ▲5000원(+30GB) ▲7000원(+50GB) ▲9000원(+75GB) 등 추가 데이터 옵션을 더하는 방식이다. 각각의 옵션을 적용해보면 월 6만2000원에 37GB, 6만4000원에 54GB, 6만6000원에 74GB, 6만8000원에 99GB 등 총 4가지 조합이 나온다.
KT는 50~90GB 구간 요금제 3종을 선보였다. 지난해 출시한 '슬림플러스(6만1000원, 30GB)' 요금제에 이은 두번째 개편안이다. 새롭게 나온 요금제는 심플50GB(6만3000원, 50GB), 심플70GB(6만5000원, 70GB) 심플90GB(6만7000원, 90GB) 등이다. 월 2000원마다 데이터 제공량이 20GB 차이나는 직관적 구조로 설계됐다.
LG유플러스는 6~7만원대 5G 중간요금제 4종을 출시했다. 신규 요금제는 ▲5G 데이터 레귤러(6만3000원, 50GB) ▲5G 데이터플러스(6만6000원 80GB) ▲5G 데이터 슈퍼(6만8000원, 95GB) ▲5G 스탠다드 에센셜(7만원, 125GB) 등이다. 이 중 80GB와 95GB는 자급제를 위한 온라인 요금제로 30% 더 저렴하다. 눈에 띄는 점은 데이터 제공량 소진 후 제한속도(Qos)다. 6만8000원 요금제의 경우 QoS 속도가 3메가비피에스(Mbps)로 상향됐다. 이는 HD급 영상시청이 가능한 수준이다.
이외에도 3사는 청년, 노년층 등에 특화된 맞춤형 요금제를 선보였다. 기본적인 뼈대는 유사하다. 청년층 대상 요금제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제공량을 대폭 늘렸다. 여기에 커피, 영화, 로밍 요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구독료 할인 등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시니어 요금제는 연령대가 높아질 수록 더 저렴한 요금제를 제공하는 점이 골자다.
'최적요금제' 도입 검토하는 정부
정부는 일단 긍정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추가적 조치는 이어질 전망이다. 요금제 선택권이 늘어난 것과는 별개로 '복잡하다'는 반응이 이어지자 '최적요금제'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쉽게 말해 통신요금 정보 제공 의무를 강화해 통신사들이 사용자 선택을 받기 위한 자발적 경쟁에 나서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KT가 신규 중간요금제를 출시한 이날 과기정통부는 "세분화된 요금제가 신설돼 이용자 선택권이 확대됐다"며 "이용자가 통신요금에 대해 더 잘 알고, 쉽게 비교해 다양한 요금제 중 자신의 특성에 적합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통신요금 정보제공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앞서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이 밝힌 설명과 동일하다. 지난 13일 박 차관은 '통신요금정책 개선 방향 간담회'에서 "이용자들이 통신요금에 대해 더 많이 알고, 더 많이 비교하고 선택할 수록 통신사들이 이용자 선택을 받기 위해 경쟁하게 될 것"이라며 "이용자들이 충분한 정보에 입각해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통신요금 정보제공 강화를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적요금제는 통신사가 과거 소비자 데이터 사용량을 기반으로 더 저렴한 요금제를 안내해야 하는 일종의 의무다. 지난 2020년부터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시행 중이다. 현재 유럽 통신사들은 가입자들에게 1년마다 최적 요금제를 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각에서는 실효성이 의문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현재도 각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관련 내용을 공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비교해주는 서비스도 존재한다"며 "통신사들에게 정보제공 의무를 지우는 것보다 기존에 진행 중이던 안내를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개선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원하는 대로 직접 설계"…SKT '이용패턴·연령' 맞춤형 5G 요금제 선보인다
- 맞춤형 요금제 선보인 LG U+…"청년부터 노년층까지 세분화"
- '중간요금제' 확대 나선 LG U+…"하반기, 저가 구간 요금제도 출시"(종합)
- 5G 중간 요금제 확대, SKT 선공에 LG유플러스도 대응...마지막 타자 KT도 임박
- 통신사들은 '중간요금제' 연이어 내놓지만...정부는 '부족하다' 쓴소리
- 유영상 SK텔레콤 "중간요금제 확대 바람직하지만...저가 구간 출시는 아직"
- 韓 초거대 AI 든든하다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중간요금제 질문에는 '입꾹닫'
- KT 중간요금제 출시 차주로 가닥...저가 구간 포함 여부에 '관심'
- KT, 신규 중간요금제 출시… "구간 나누고, 청년·시니어 혜택 강화"
- [가봤다] 제주 리조트 누비는 KT AI 로봇…"24시간 투숙객 심부름 척척"
- LG유플러스, 전 제품 포장 친환경 소재로 바꾼다
- LG유플러스, 알뜰폰 고객 경험 혁신 도모..."리브엠에 '유독' 혜택 제공"
- KT, AI 기반 ‘이음5G 지능형 관제 솔루션’ 상용화
- KT-에픽게임즈, 'K-디지털트윈 워킹그룹' 출범…"기술 발전 모색"
- LG유플러스, '미술 거장 다큐·오케스트라 공연' 독점 무료 제공한다
- LG유플러스, 대한적십자사에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 지원 성금 전달
- 재차 고개숙인 LG유플러스 "뼈를 깎는 성찰, 신뢰주는 회사로 거듭나겠다"
- "BMW 모니터로 유튜브 본다" 통신3사, 차량용 e심 요금제 출시
- SKT, 개인공간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홈' 공개
- "LA도 메타버스로 간다" SKT, 이프랜드에 실사 기반 랜드마크 선보인다
- 3만원대 통신요금제 나올까…정부, 이통사와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