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트위터 서비스 유료화를 추진 중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새로운 돈벌이 수단을 알렸습니다.

머스크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다음달부터 트위터 이용자들이 기사 한 건을 클릭할 때마다 미디어들이 요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이용자들은 월 구독료 없이 원하는 기사만 읽을 수 있고 미디어는 기사마다 더 높은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며 "미디어계와 대중 모두 '윈윈'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포털사이트 등에서 기사 전문(全文)을 볼 수 있는 한국과 달리 해외에서는 온라인 회원 가입을 하고 월 구독료를 지불해야 기사를 읽을 수 있습니다. 즉 머스크는 매달 구독료를 내는 것보다 트위터에서 읽고 싶은 기사마다 유료 결제를 하는 게 저렴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기사 건당 요금과 수익 배분, 대상 미디어 등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어떤 계정이 이 같은 유료화 정책을 사용할 수 있는지 불분명하다"며 "공식적인 언론사만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자체 콘텐츠를 내놓은 기업 등도 사용할 수 있는지 설명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공신력 없는 기업 또는 개인이 기사 콘텐츠를 공급할 경우 트위터 이용자가 가짜 뉴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IT 전문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이는 트위터 인수 후 대량의 직원을 해고한 머스크가 추진하는 수익화 프로그램의 일부"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머스크는 최근 '블루 체크'를 시작으로 트위터 서비스 유료화에 속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사회적 영향력이 큰 인사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제공되던 인증 마크인 블루 체크는 지난달부터 유료 구독 회원에게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블루 체크에 이은 뉴스 링크의 유료화가 트위터 매출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립니다. IT 매체 엔가젯은 지난 1월 트위터의 일일 광고 매출이 전년 대비 40% 감소, 광고주는 500곳 이상 이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엔가젯은 "광고주들은 머스크의 경영 방식에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면서도 "언론사 30개 이상과 여러 스포츠 리그와의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