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컴퍼니
/사진=디디다컴퍼니

중국 칭화유니 그룹의 창업자 자오웨이궈(趙偉國) 전 회장이 국가 경제에 입힌 손실 액수가 2500억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칭화유니는 중국 반도체 굴기의 핵심 기업이었습니다.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 지린시 인민검찰원은 지난달 28일 자오 전 회장이 국유 자산의 불법 점유 등을 통해 13억6000만위안(약 2520억원) 규모의 직접적인 국가 경제 손실을 끼쳤다고 판단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자오 전 회장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친구 리루위안(李祿媛)과 공모해 칭화유니가 사들여야 할 국유기업의 부동산을 헐값에 매입해 4억7000만위안(약 870억원) 상당의 국유 자산을 불법 점유했습니다.

또한 자오 전 회장은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칭화유니 수익 사업을 리루위안의 기업에 위탁하거나 시중보다 비싸게 서비스를 받아 8억9000만위안(약 1650억원) 규모의 경제 손실을 입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오 전 회장은 재판 최후 진술에서 모든 혐의를 인정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 외에도 검찰은 "자오 전 회장은 회삿돈을 횡령하거나 친척과 친구가 불법적인 이익을 챙기는 것을 돕고 상장 기업의 이익을 훼손했다"면서도 구체적인 피해 규모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뇌물 수수를 포함한 주요 경제 범죄도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자오 전 회장이 부정부패 혐의가 아닌 '괘씸죄' 등 다른 이유로 조사 대상이 됐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중국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국가감찰위원회(이하 기율·감찰위)는 지난 3월 자오 전 회장의 혐의 내용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혐의에는 구체적인 내용 없이 부패와 배임 혐의가 거론돼 의구심을 자아냈습니다.

한편 중국은 2025년 반도체 자급률 70%를 목표로 2014년 3429억위안(약 63조6800억원) 규모의 국가 펀드를 조성했습니다. 국가 펀드의 지원 대상으로 꼽힌 칭화유니는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전개하다 2020년 11월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했습니다. 이후 2022년 7월 기율·감찰위가 자오 전 회장을 연행한 것입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