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부터 적용…한국·베트남·멕시코 생산 가전, 원가 상승 불가피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직접 영향권에 들었다. 첫 영향은 가전제품이 받게 됐다. 제품 제조에 활용하는 철강이 꼬투리를 잡혔다.
12일(현지시각) 미국 상무부는 50% 철강 관세 부과 대상 철강 파생상품 목록에 생활가전을 추가했다.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레인지 오븐 등 사실상 대부분 생활가전을 포함했다.
이번에 목록에 들어간 제품에 대한 철강 관세 적용은 오는 23일(현지시각)부터다. 전체 제품에 50% 관세를 추가하는 것은 아니다. 제품에 들어간 철강의 가치를 감안해 그 부분에만 50% 관세를 매긴다. 즉 100만원 세탁기가 150만원이 되는 것이 아니다. 100만원 중 철강이 10만원을 차지하면 여기에 50% 관세를 붙여 105만원이 되는 식이다.
삼성전자 LG전자 직격탄이 불가피하다. 양사는 미국에서 일부 제품을 생산하지만 제품에 투입하는 철강을 모두 미국에서 조달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 베트남 멕시코 등에서 만드는 제품 역시 그렇다. 이번 철강 관세는 미국산 철강을 써야 예외다.
삼성전자 LG전자만 가격 경쟁력이 약화한 것은 아니다. 삼성전자 LG전자와 미국 시장을 두고 경쟁하는 중국 업체는 미국산 철강을 사용하지 않는다.
월풀 등 일부 현지 기업 수혜도 제한적으로 여겨진다. 미국에서 제품을 제조하는 현지 기업도 전량 미국산 철강으로 가전을 제작하지는 않는다. 삼성전자 LG전자 미국 공장과 대동소이하다. 더구나 미국산 철강의 가격과 다른 철강의 가격 차이와 관세 영향 등도 따져봐야 한다. 미국산 철강은 우리나라 철강 대비 20% 가량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산 등과는 격차가 더 크다.
업계 관계자는 "수차례 부과와 연기를 반복해 온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사실상 처음으로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라며 "공급망 및 생산망 재구성 등 그동안 준비해 온 국내 기업의 위기 대응 절차가 얼마나 치밀했는지 검증의 시간이 도래했다"라고 평가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
- [테크M 이슈] 스테이블코인 나오면 원화가 사라진다고?...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오해와 진실
- [기자수첩] 이재명 정부의 게임산업, 규제보다는 혁신이 필요한 때
- [다시 뛰는 K게임코인] '메이플스토리N' 항해 시작한 황선영...게임 넘어 가상세계 넘본다
- [李 정부 스테이블코인 도입 ①] 코인 웹3 대중화 기대감...네이버·카카오 수혜 누릴까
- [크립토 브리핑]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비트코인 4%↓...리플 2900원대
- 쿠팡플레이, 무료 광고형 요금제 도입 '목전'...'패스' 도입으로 수익화 '투트랙'
- '보는 경험'을 디자인하다...넷플릭스 TV 홈 화면 개편 속 '숨은 경쟁력'
- 빗썸,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와 제휴 이벤트
- 두나무, '갤럭시 S25 엣지 업비트 익스클루시브' 공개..."가상자산 거래에 최적화"
- 이재명 대통령 "경제 핵심 '기업'"…이재용 삼성 회장 "민관 합심 위기 극복"
- LG CNS, 상장 후 첫 공모가 상회...AI 정책 수혜 기대감 커진다
- 한컴위드, TG와 업무협약...'제로 트러스트' 시장 공략 나선다
- 롯데이노베이트 코튼시드, 수원삼성 디지털 카드 출시
- SLL '굿보이' 글로벌 흥행 순항...아마존 3위·넷플릭스 9위
- 예스24도 당한 랜섬웨어, 1분기 글로벌 피해건수 122% 늘었다
- [가봤다] 사진 찍으면 자동으로 기부되는 '체리포토'...블록체인으로 나눔 문화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