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왼쪽부터), 폴 밴시스 팍소스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성장 총괄, 로스 에드워드 리플 글로벌 금융기관 담당 시니어 디렉터가 9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UDC 2025'에 참석해 대담을 나누고 있다. / 사진=이소라 기자
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왼쪽부터), 폴 밴시스 팍소스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성장 총괄, 로스 에드워드 리플 글로벌 금융기관 담당 시니어 디렉터가 9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UDC 2025'에 참석해 대담을 나누고 있다. / 사진=이소라 기자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이 금융 환경의 변화를 이끌고 연구 활동 등에 더 큰 혁신을 이끌고 있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로스 에드워드 리플 글로벌 금융기관 담당 시니어 디렉터는 9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UDC 2025'에 참석해 "지니어스 법은 규제 확실성을 모두에게 제공하는게 있어서 스테이블코인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니어스 법의 파급력에 대해서는 공감하며 미국이나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분기점을 맞이했다"며 "지니어스 법은 한국에서도 불확실성을 줄여 희소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기본 단위를 넘어 글로벌 결제와 자산 운용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민간 발행 주체들은 신뢰성과 투명성을 기반으로 다른 방식을 통해 시장을 확대해오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가 CBDC 감시국가 법안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스테이블코인과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폴 밴시스 팍소스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성장 총괄은 "미국에서는 이를 민단 부분에 맡겨뒀던것 같은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며 "미국에서 이루고자 하는 방안이 효과적인 방침이라면, 지니어스 법안을 중심으로 법적 기틀이 마련됐기 때문에 미국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스 에드워드 디렉터는 "CBDC와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여정이 있는데, 업계 전반적으로 비즈니스 측면에서 큰 영향이 있었다"며 "개인적으로 범용 CBDC가 현대 경제에서 크게 효용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혁신이나 연구 활동들이 스테이블코인에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