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디지털자산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토큰화 시장과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동시 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임병화 성균관대 교수는 25일 서울 영등포구 FKI 타워 파인홀에서 열린 '디지털 금융패권의 핵심 열쇠, 글로벌 디지털자산 플랫폼 세미나'에서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디지털자산 정책 목표와 원칙을 명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임 교수는 "자산토큰화와 스테이블코인, 온체인금융(탈중앙화 금융)을 합친 3대 축의 주요 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면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제안했다.
미국을 예로 들면 JP모건 같은 전통 금융기관이 자산 토큰화 플랫폼을 운영하고 서클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며, 코인베이스가 전통 금융의 토큰화 시장과 온체인 금융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 식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 기존 규제 체계를 넘어 글로벌 정합성을 가지고 있는 규제 마련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이나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디지털자산 일부에 불과하다"며 "주요 국가의 디지털자산 전략은 전통금융과 디지털금융의 결합 또는 전통금융의 디지털금융으로의 전환과 이어져 있으며, 더 나아가 탈중앙화 금융과 전통금융과의 결합도 염두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금융, 디지털금융, 온체인금융까지 단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규제 친화적 디지털자산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자산 기반 금융 기능이 확대돼야 규제 친화적인 디지털자산 시장과 함께 시장 활성화가 가능하다"며 "국내 가상자산 이용자들이 토큰화, 스테이블코인 등의 디지털자산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스냅드래곤서밋] 최원준 삼성전자 사장 "연내 4억대 '갤럭시 AI' 보급…퀄컴 협력 강화"
- [템터뷰] 김경업 오픈에셋 대표 "범용 스테이블코인 만들어 한국의 서클·팍소스 될 것"
- 진격의 샤오미, 국내 2·3호 스토어 오픈에 서비스센터까지 직접 설립
- 업비트 품은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두나무 빅딜설에 "확정된 바 없다"
- [스냅드래곤서밋] 알렉스 카투지안 퀄컴 본부장 "'스마트폰→인간·AI' 전환, AI 기기 100억대 시대 견인"
- 네이버 "두나무와 주식교환, 확정된 바 없다"
- [테크M 이슈] "네이버+두나무" 급부상한 이해진-송치형의 빅딜...웹3로 美中 빅테크와 승부
- 이커머스 3강 경쟁전...1강 노리는 쿠팡 vs 알리바바 더한 신세계 vs 컬리 품은 네이버
- [TGS 25] 콘솔 확장 시동거는 '몬길'..."게임의 특성 따라 플랫폼도 넓어지죠"
- [TGS 25] 내년 1월 베일 벗는 '칠대죄 오리진'..."같이 게임하는 재미 느낄 것"
- [TGS 25] "살아있는 IP의 게임화, 캐릭터성을 봤죠"...도원암귀 선택 배경은 '재미'
- [템터뷰] "계약하면 떠오르는 서비스 될래요"...AI 전자서명 시대 진화하는 모두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