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인공지능(AI) 숏츠 제작 기술 '헬릭스 숏츠(Helix Shorts)'를 기반으로 카카오 콘텐츠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창작자에게 헬릭스 숏폼 기술을 무료로 제공하고, 카카오톡 숏폼과 연계해 웹툰 콘텐츠의 저변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AI 만난 웹툰의 변신...숏폼 제작 기술 창작자에게 무료 제공
1일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헬릭스 숏츠를 지난 29일부터 콘텐츠 제공사(CP)에 제공 중이라고 밝혔다. 배포된 서비스 명은 '헬릭스 숏츠 AI 에이전트'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파트너사이트'에 가입해 카카오페이지 오리지널 지적재산권(IP)을 유통하는 CP사를 대상으로 배포됐으며, 이후 순차적으로 배포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헬릭스 숏츠는 웹툰 하이라이트를 40초 내외 짧은 영상으로 자동 제작하는 AI 기술이다. 숏츠로 만들 웹툰 회차를 CP사가 헬릭스 숏츠 AI 에이전트에 업로드 하면 AI가 이미지 분석을 심층적으로 진행하고, 이후 AI가 제안하는 절차에 따라 숏츠 제작이 진행된다. 만들어진 숏츠 영상은 작가 동의를 거친 후 플랫폼 협의를 통해 카카오페이지에 게재하거나 CP사 홈페이지, 유튜브 등 다른 경로로 자체 작품 홍보에 활용할 수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 2023년 숏폼 콘텐츠 자동화 가능성을 포착한 후 개발에 착수해 올해 2월 카카오페이지 전체 이용자를 대상으로 헬릭스 숏츠 적용을 완료했다. 다른 영상 자동화 기술과는 달리 헬릭스 숏츠는 작품 속 이미지 및 분위기를 AI가 정교하게 이해하고, 줄거리, 내레이션, 배경 음악, 화면 구성 등을 유기적으로 조합하는 새로운 기술로서 업계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번 무료 제공은 창작자의 웹툰 홍보 기회와 독자 확대를 견인해 창작 생태계 확장에도 꾸준히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관적인 몰입을 돕는 헬릭스 숏츠는 작품 열람율 증대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으며, 낯선 작품과 장르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 IP 라이프사이클을 확장하고 있다. 기존에 숏츠 한 편을 제작하는 데 약 3주의 기간이 소요된 것과 달리, 제작 시간이 약 2시간에 불과한 게 헬릭스 숏츠만의 강점이다.
김기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색다른 IP 몰입 경험을 업계에 제시한 헬릭스 숏츠가 창작자에게 제공됨으로써 국내 웹툰 산업 저변이 또 한 번 확장되고 활성화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내 창작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AI 기술을 꾸준히 연구하고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AI로 비용↓, 웹툰 인기↑
카카오엔터는 헬릭스 숏츠를 기반으로 카카오톡 숏폼과 연계해 웹툰 저변 확대에 나선다. 전문적인 영상 편집 기술이 없어도 간편하게 숏츠를 생성할 수 있는 만큼 많은 작가들이 직접 자신의 작품 분위기에 맞는 숏츠를 만들고, 이를 카카오톡 숏폼을 통해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김미선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팀장은 지난 23일 '이프 카카오' 콘퍼런스에서 "헬릭스 숏츠 에이전트와 카카오톡 숏폼 스튜디오를 API로 연동해 헬릭스 숏츠 에이전트에서 제작된 숏츠가 카카오톡 숏폼 채널에 올라가게 된다"며 "카카오톡 숏폼이 웹툰 창작자와 독자를 연결해 주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톡에 업로드되는 숏폼은 웹툰 원작으로도 유입을 확대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연결하기' 버튼을 통해 다른 웹툰 숏츠를 감상하면서도 해당 작품을 더 보고 싶다면 클릭 한번으로 쉽게 볼 수 있다. 덕분에 이용자들은 탐색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웹툰을 빠르게 볼 수 있고, 이는 웹툰 원작 관람 확대와 결제 등으로 이어진다.
김 팀장은 "기존에는 인기작, 기대작과 같이 제한된 비용과 리소스의 한계로 공급자 중심의 숏츠를 만들 수밖에 없었다면, AI로 모든 창작자가 자신만의 쇼츠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작품과 장르의 웹툰 숏츠가 늘어나고 다양한 취향을 가진 유저들이 웹툰의 새로운 독자가 될 수 있게 됐다"며 "숏폼을 통해 스토리에 몰입된 사람들이 웹툰 시장으로 유입돼서 작품 열람이 늘어나고 웹툰 시장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고 말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
- 삼성전자·SK하이닉스 '활짝'…9월 메모리 가격 상승세 '지속'
- [FSL 통신] "세대교체가 시작됐다"...'크롱'-'우타', 강자들 꺾고 16강행
- 넷플릭스·컬리 이어 우버까지...네이버, '단골' 확보 본격화
- 李 대통령, 샘 올트먼 만난다...AI 협력관계 구축 '관심'
- '우편' 이어 '하도급지킴이'도 복구...명절 전 국정자원 화재 여파 수습 '진땀'
-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 생태계 역행하는 격"...전문가들, 소상공인 보호 효과에 '물음표'
- NHN클라우드, 국정자원 전소 시스템 클라우드 이전 인프라 구축 '낙점'
- '보여주는' 소리, '들려주는' 화면...넷플릭스, '배리어프리' 콘텐츠 제작 강화
- SK쉴더스, 화이트해커 전문성 결합한 통합 보안 지원..."사각지대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