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 30여개 추가 복구
국가인공지능전략위, 대책 발표 예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시스템 복구작업이 추석 연휴 기간에도 이어졌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8일 오전 6시 기준 복구 시스템은 총 164개, 복구율은 25.3%다. 정부는 민생과 직접 연관된 시스템을 우선 복구 중이다. 대국민 민원·행정 업무에 파급효과가 큰 1등급 시스템은 22개가 복구됐다. 전체 시스템 복구에는 당초 예상보다 오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행안부는 국정자원 화재 복구 작업을 이어간다. 이날 오후 2시 김민재 행안부 차관(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이 국정자원 대구센터를 방문 점검한다. 김 차관은 전소된 시스템 재구축에 필요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준비 상황을 살핀다. 정부는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해 중단된 서비스를 신속히 재개할 예정이다.
앞서 김 차관은 하루 전 점검 회의를 열고 "국민 불편을 빠른 시일 내에 해소할 수 있도록 민간 클라우드 기업과 협업해 시스템 복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대전 본원에서 전소된 96개 행정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하기 위한 인프라 작업은 NHN클라우드가 수주해 진행 중이다. 정부는 이전 및 구축 작업에 약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차관은 이날 대구센터 무정전·전원장치(UPS)와 배터리 관리상황도 점검한다. 지난달 26일 오후 발생한 대전 본원 화재는 무정전·전원(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발화한 배터리는 보증 기간인 10년이 지나 지난해 교체 권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 본원 화재는 발생 후 약 22시간 만에 진화됐으나 총 647개 정부 정보시스템이 중단됐다. 이 가운데 국민 생활과 밀접한 인터넷망 시스템은 436개, 공무원 업무를 위한 내부 행정망은 211개였다. 정부는 즉시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한 바 있다.
시스템이 중단된 기간 각 부처는 임시 조치로 대응했다. 국토교통부는 토지대장 등 부동산 민원 수수료를 한시 면제했고, 국가보훈부는 국립묘지 안장 신청을 팩스·이메일로 접수하도록 했다.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삼성SDS, LG CNS 등 민간 전문가 협조도 요청했다.
시스템 복구는 사고 직후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됐다. 지난달 28일에는 모바일 신분증과 우체국 인터넷 예금 등 30개 시스템이 우선 재가동됐고, 29일에는 정부24와 우편·금융 시스템 등을 포함해 81개로 늘었다. 추석을 앞두고 민원 업무 차질을 최소화 하겠다는 방침이었다.
복구작업은 추석 연휴에도 이어져 이달 4일 130개, 5일 134개, 6일 157개로 복구 규모가 확대됐다. 추석 마지막 날인 지난 7일 오후 6시 기준 복구된 시스템은 163개였다.
국가인공지능전략위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AI인프라 거버넌스 혁신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AI인프라 운영구조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등 근본 대책을 수립해 조속한 시일 내 발표하기로 했다. 대통령실도 예비비를 편성하는 등 복구를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정부는 남은 시스템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정상화 작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귀경길 지루함 '순삭'...이동 거리별 OTT 추천작은?
- [마켓 인 싱가포르] 전기차 보급 '고공행진'...중국 제조사 '비야디' 두각
- 노벨 생리의학상에 '말초 면역 관용' 연구자 3인...자가면역질환 치료 새 전기 마련
- [써봤다] 둘 다 갖고 싶네...애플워치 시리즈11·울트라 3
- [먹어봤다]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만 살 수 있다!...햄버거와 돈까스의 '진화'
- 데브시스터즈 '쿠키즈'가 아육대에 떴다...글로벌 IP 시장 정복 위해 달리는 '쿠키런'
- 오픈AI 손잡은 AMD, 주가 24% '폭등'
- 노벨물리학상에 양자역학 연구자 클라크·드보레·마티니스
- 비트코인-이더리움 다음은 리플-솔라나?! 확 바뀌는 美 코인 ETF...제도권 자본 몰려온다
- 과방위 국정감사 '민생 보안' 핵심 화두로...빅테크 불공정거래도 도마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