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오토가 182억원 규모의 전략과제를 수주하며 국내 미들마일 자율주행 상용화를 주도하게 됐다.
트럭 자율주행 스타트업 마스오토는 산업통상부가 추진하는 '대형트럭 화물운송을 위한 무인 자율주행 상용화 기술개발' 컨소시엄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마스오토는 이번 사업의 핵심 기술로 2020년부터 개발해온 자사의 카메라 기반 'E2E AI'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E2E AI는 방대한 주행 데이터를 학습한 단일 통합 신경망이 인지·판단·제어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구조로 작동하는 자율주행 기술이다. 이는 '라이다'와 '정밀지도'에 의존하는 기존 자율주행 방식 대비 부품 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90% 이상 절감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도로상의 불규칙적인 주행 패턴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 방식은 현재 테슬라가 최신 FSD(Full Self-Driving) 시스템에 적용하며 글로벌 자율주행 업계의 차세대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마스오토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대형트럭에 특화된 카메라 기반 E2E AI 상용화, 1억km급 대규모 실주행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을 통한 고속도로 내 변칙적 상황 대응, 안전한 자율주행 화물운송을 위한 원격 관제 플랫폼 구현 등 고속도로 무인 자율주행 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마스오토 컨소시엄에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KAIST(공승현 교수팀),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등 총 13개 산·학·연·관 기관이 참여했다. 사업 기간은 오는 2027년 12월까지 총 28개월이다.
박일수 마스오토 대표는 "중간물류 시장은 국내 33조원, 글로벌 시장 기준 5500조원 규모로 이번 과제는 국가 물류 인프라 혁신으로 이어지는 실질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축적된 트럭 자율주행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고속도로 구간 무인 운송의 상용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단25] 네이버 콘텐츠, AI·XR 결합으로 '초현실·초몰입' 콘텐츠 지평 연다
- [채널콘25] 최시원 채널코퍼레이션 대표 "'알프v2'로 CX 완전 자동화 도전"
- [단25] 김유원 대표 “연말 새로운 '하이퍼클로바X' 공개...내년 '뉴로클라우드' 업그레이드"
- [글로벌] 아마존, 퍼플렉시티에 'AI 쇼핑 중단' 요구
- [글로벌] IBM, 소프트웨어 중심 재편 속 '수천명 감원' 단행
- [글로벌] 베사, '디스플레이포트 2.1a' 중심으로 표준 생태계 강화
- "수평적 문화로 '재미' 잡겠다"...게임 노조, 문체부에 창의적 개발환경 조성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