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인프라·기술 등 소버린 AI 경쟁력 확보
네이버랩스와 피지컬AI 실례 확보...글로벌 협력 지속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5' 키노트 무대에 올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TV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5' 키노트 무대에 올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TV

네이버클라우드가 데이터와 인프라, 기술을 아우르는 독자적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소버린 AI'를 중심으로 한 AI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5' 키노트 무대에 올라 "우리의 데이터와 인프라, 기술로 만드는 우리 모두의 AI"라며 소버린 AI의 비전을 강조했다. 네이버는 정부 '소버린 AI' 정책의 핵심 파트너로 꼽힌다.

소버린 AI는 자신의 데이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언어와 문화, 가치체계를 담은 AI 생태계를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주도적 AI' 또는 'AI 주권'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네이버는 정부가 역점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프로젝트에 참여해 5개 컨소시엄에 선정된 바 있다.

김 대표는 "네이버는 2023년 세계 최초로 영어가 아닌 언어 기반 초거대 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선보였고 이후 경량화 모델 '대시'와 추론 능력을 강화한 '씽크', 오픈소스 모델 '시드'를 연이어 발표했다"며 "최근에는 정부가 추진 중인 사업에 참여해 'K-AI'라는 호칭을 얻는 등 올해 말 1차 심사에서 새로운 '하이퍼클로바 X'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5' 키노트 무대에 올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TV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5' 키노트 무대에 올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TV

김 대표는 인프라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소버린 AI에는 모델을 학습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강력한 인프라도 필요하다"며 데이터센터 '각 세종' 운영 사례, APEC 정상회의 현장에서 GPU 6만장 공급 예고, 국가 AI 컴퓨팅센터 사업 참여(삼성SDS 컨소시엄) 사례 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어느 나라든 외국 기술에 의해 통제받을 수 없는 분야가 있다"며 금융과 에너지를 대표적 예로 들었다. 네이버는 한국은행과 한국수력원자력 등 산업 현장에 AI를 공급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제 AI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는 AI 에이전트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내년 6월 프라이빗 클라우드인 '뉴로 클라우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선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랩스를 필두로 한 피지컬 AI 분야에 대해서는 "2016년부터 로봇과 자율주행 연구를 시작해 2021년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피지컬 AI로 전환했다"며 "현재 네이버 사업장과 데이터센터에 100여대의 로봇을 운영하며 리얼데이터·클라우드 플랫폼·온디바이스 AI를 통해 자율적 판단과 행동이 가능한 AI로 발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5' 키노트 무대에 올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TV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5' 키노트 무대에 올라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TV

태국의 '시암AI', 일본의 '클로바 케어콜'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협력 사례도 언급했다. 김 대표는 "네이버의 기술이 가장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곳은 사우디아라비아"라며 "사우디 주택부와 합작해 '네이버 이노베이션'을 설립했고 주요 도시에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내년에는 지도 데이터를 통합한 슈퍼앱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 대표는 "스마트스토어와 스마트플레이스를 잇는 '스마트 AI 에이전트' 프로젝트로 중소기업, 소상공인, 지방자치단체도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우리의 도전을 계속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