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네이버 대표(왼쪽부터)와 여민수·조수용 카카오 공동 대표 / 그래픽 = 디미닛
한성숙 네이버 대표(왼쪽부터)와 여민수·조수용 카카오 공동 대표 / 그래픽 = 디미닛

 

정부의 디지털뉴딜 선포 이후, 한동안 힘을 쓰지 못했던 '비대면(언택트) 수혜주' 3인방 네이버-카카오-엔씨소프트가 다시 날아오를 채비를 마쳤다. 2분기 실적 기대감이 높아진데다, 최근 조정을 통해 차익실현을 마무리한 기관 및 외인들의 매수세가 다시 붙는 양상이다. 


"조정은 끝났다" 네이버-카카오-엔씨, 시총 '100조' 회귀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정오 기준, 네이버-카카오-엔씨소프트의 합산 시가총액은 10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기록은 지난 7월 둘째 주, 이후 20일만이다.   

먼저 네이버는 전일대비 2.5% 오른 주당 30만9000원에 거래되며 시가총액 50.8조원을 기록 중이다. 장중 31만원선을 뚫어내며 52주 신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네이버는 2분기 실적호조에 대한 기대감으로 7월한달간 개인투자자들이 무려 5000억원 규모의 순매수를 이어갔다. 

카카오 역시 전일대비 5% 오른 주당 36만원선에 복귀, 시총 31.7조원을 기록 중이다. 다시 삼성SDS·현대차와의 격차를 벌리며 코스피 시총 8위 자리를 공고히하는 모습이다. 카카오 역시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이달 개인투자자 순매수액이 4668억원에 달한다. 이는 언택트 열풍이 불던 지난 3~5월을 웃도는 수준이다.

주당 70만원대까지 쳐졌던 엔씨소프트 또한 주당 84만원선에 복귀, 다시 반등에 나서는 모습이다. 특히 매출 순위 3위로 쳐졌던 리니지2M이 지난 2일, 바람의나라:연을 제치고 다시 매출 순위 2위 자리를 꿰차면서 매수세에 힘이 붙는 양상이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 캐리커쳐 = 디미닛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 캐리커쳐 = 디미닛

 


다시 뛰는 언택트…주식시장 키워드는 '미래 기대감'


한동안 조정기에 접어들었던 네이버와 카카오, 엔씨소프트는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언택트 대장주 지위'를 더욱 공고히하고는 모습이다.

특히 네이버-카카오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뱅크, 네이버파이낸셜 등을 앞세우며 금융분야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어, 올 하반기 미래 기대감이 더욱 확산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조용선 SK증권 연구원은 "금융위원회가 디지털금융 종합혁신방안을 발표하며 전자금융거래법을 전면 개편하겠다고 예고했고, 각종 규제를 완화하며 IT기업들이 진입할 수 있도록 장벽을 낮추는 만큼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을정 신영증권 연구원 또한 "네이버 생태계 안에서 커머스와 파이낸셜의 시너지가 강화되고 있다"며 "라이브커머스, 보험상품 중개 서비스 등 도입되며 커머스-파이낸셜 시너지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승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역시 "게임-인터넷주가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블 발표하고 있어,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중"이라며 "알파벳,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아마존 등 글로벌 언택트 기업들도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속속 발표하고 있는 만큼, 대표적인 언택트 섹터인 게임-인터넷 기업들의 투자심리는 우호적인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