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미래 감염병 관리를 위한 ICT 및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 리포트 발간
브로드밴드위원회 가을 정기총회서 리포트 발표
코로나19 대응 사례와 교훈, 향후 팬데믹 극복 협력 제언 등 포함
KT는 국제연합(UN) 브로드밴드위원회에서 '감염병 관리를 위한 ICT 및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 제목의 감염병 관리 워킹그룹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KT는 지난 19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브로드밴드위원회 가을 정기총회에서 리포트 내용을 발표했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적 노력 및 우수사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얻은 가치 있는 교훈 ▲향후 발생 가능한 팬데믹(감염병 최고 경고등급) 극복 위한 글로벌 협력 방안에 대한 제언 사항 등이다. 브로드밴드위원회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UN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가 공동 주관하고 UN이 지원해 지난 2010년 출범한 비상설 국제기구다.
구현모 KT 대표가 의장을 맡고 있는 '감염병 관리 워킹그룹'에는 르완다 폴 카가메 대통령, 화웨이, 싱가포르 정부 관계자 등을 포함해 총 16명이 참여한다. 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각 국가의 대응 사례 분석을 진행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KT는 글로벌 감염병 공동대응 체계의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1년 간의 활동으로 통해 이 리포트를 작성했다.
리포트를 통해 KT는 감염병 관리 워킹그룹이 분석한 아시아, 유럽, 북미, 아프리카 14개나라의 코로나19 대응 전략과 ICT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감염병에 대처할 수 있도록 ICT 기반을 둔 감염병 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리포트는 브로드밴드위원회 위원들의 최종 의견수렴 후 오는 10월 중 브로드밴드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될 예정이다.
아울러 KT는 이번 리포트가 미래의 ICT를 활용한 감염병 대응책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며, 감염병 관리를 위한 활동으로 지속적으로 할 계획이다.
구현모 KT 대표는 "감염병 관리를 위한 ICT 활용이 적시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련 데이터와 네트워크의 규제를 유연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며 "데이터 공유와 국가간 정책조율을 위한 글로벌 민관협동 감염병 대응 관리방식을 준비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인싸뷰] '힙한 회사'가 되고 싶은 KT, 첫번째 전략은 '레트로 프로젝트'
- '추석에 집에서 뭐하지?' 통신사들이 '홈추족' 위해 콘텐츠 보따리를 풀어놨다
- [FreeView] #트렌드 #완성도 #가성비…개성 따라 고르는 스마트폰 구매 가이드
- ICT로 ESG 경영 실천...'넷 제로' 조기 달성 속도내는 통신3사
- 'KT 5G' 기술, 7년 연속 5G 월드어워드 수상
- KT 직원 극단적 선택…직장내 괴롭힘 의혹에 "노동청 조사 의뢰"
- 호텔도 '디지코' KT와 하면 다르다...구현모 신사업 분야 협업 가속패달
- KT 와이 "일회용 봉투 대신 가방 쓰면 선물 드려요"
- KT-익산시, 지역화폐에 QR 결제 서비스 도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