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조망할 수 있는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1'이 17일 부산 벡스코에서 대단원의 막을 올린다.
올해 17회째를 맞이한 지스타 2021은 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을 맡아 17일 오후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21일까지 5일 간 개최된다.
이날 개막식에는 강신철 지스타조직위원회 위원장과 박형준 부산광역시장을 비롯해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허은아 국민의힘 국회의원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류호정 정의당 국회의원 ▲신상해 부산시의회 시의장 ▲정문섭 부산정보산업진흥원장이 참석한다. 게임업계에서는 메인스폰서인 카카오게임즈의 조계현 대표를 비롯해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가 함께 한다. 그리고 유관기관에서는 조현래 한국콘텐츠진흥원장, 김규철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참석한다.
올해 지스타는 40개국(온라인 참가 포함) 672개사, 1393부스로 개최된다. 먼저 BTC관은 방역 강화를 위하여 야외 및 기타시설을 사용하지 않으며 벡스코 제1전시장 전관에서 진행된다. 국내 기업으로는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그라비티, 시프트업, 인벤, 엔젤게임즈, 레드브릭, 하루엔터테인먼트 등이 참가하며, 해외 기업으로는 텐센트 오로라 스튜디오, 쿠카게임즈 등이 전시 부스를 마련했다.
BTB관은 벡스코 제2전시장 1층에 313부스 규모로 구성됐다. 국내 기업으로는 위메이드, 엔에이치엔, 플레이위드 등과 함께 부산정보산업진흥원,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충남글로벌게임센터 등 유관기관의 공동관을 통한 다수의 중소기업이 참여했다. 그리고 해외 기업으로는 한아세안센터, 엑솔라, 주한호주대사관 무역투자대표부, 주한캐나다 대사관, 틱톡 등이 전시 부스를 마련했다.
지스타의 주요 부대행사인 지스타 컨퍼런스는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벡스코 컨벤션홀 2층에서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국내 게임컨퍼런스 중 하나인 IGC와 콜라보레이션 형태로 진행되며 메타버스, 인디, 콘솔, PC온라인, 모바일, 클라우드 등 다양한 주제로 세션이 구성된다.
1일차 키노트 연설에는 프로젝트 '이브' 및 '니케'를 개발하고 있는 시프트업의 김형태 대표가, 2일차 키노트 연설에는 SKT MNO사업부에서 메타버스를 총괄하고 있는 전진수 CO장의 강연이 진행된다. 올해 컨퍼런스는 현재 게임 산업 내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메타버스 관련 주제 외,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인디게임 개발사의 강연도 진행된다.
강신철 위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어려움과 불확실성 속에서도 이번 지스타 오프라인 전시 참여를 결정해주신 참가기업 모두에게 감사드린다"며 "5일간 오프라인과 온라인 양쪽 모든 곳에서 안전하고 즐거운 게임문화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K게임, NEXT LEVEL] (중) K게임의 새 무대, 콘솔 시장을 향한 도전이 시작됐다
- [K게임, NEXT LEVEL] (상) 건재한 배틀로얄과 서브컬쳐의 부상...MMORPG는 블록체인 만나 '진화'
- [K게임, NEXT LEVEL] (하) 게임, 그 이상의 게임...메타버스 시대로 도약을 준비하라
- [주목 지스타] 전세계가 주목한 '뉴스테이트'로 지스타 달구는 크래프톤
- [주목 지스타] 라그나로크에 의한, 라그나로크를 위한 그라비티의 지스타
- [주목 지스타] 빼놓으면 섭섭한 BTB, 올해는 위메이드와 NHN, 틱톡을 주목하자
- [주목 지스타] 지스타를 노란물결로...카카오게임즈 '우마무스메'부터 '오딘'까지
- [주목 지스타] 첫 출전 시프트업, '일러스트 장인' 김형태의 '니케: 승리의 여신'에 관심
- '오딘' 김재영, 韓 게임업계 미다스의 손으로 우뚝...두번째 게임대상 '눈앞'
- [지스타2021] 철저한 방역 속 개막한 국내 최대 게임전시회 지스타(종합)
- [카드뉴스] 2년만에 오프라인 전시로 돌아온 지스타, 부산서 '팡파르'
- [지스타2021] 사진으로 만나는 지스타...현장을 찾은 인사들
- [지스타2021] 10만 크리에이터 보유한 '레드브릭'..."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되겠다"
- [지스타2021] 산업계·학계·게임계가 바라보는 메타버스 키워드는? '이용자·이해·게임화'
- SK텔레콤, 올해 마지막 골드번호 5000개 주인공 찾는다
- 엔젤게임즈, '신의 탑M' 7일만에 사전등록자 100만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