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기가지니와 알렉사 합쳐진 '기가지니 듀얼 브레인 AI' 출시
영미권 콘텐츠 무료 감상 및 직구가전 연동까지

모델들이 KT 기가지니에서 아마존 알렉사를 사용하는 '듀얼브레인 AI'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KT 제공
모델들이 KT 기가지니에서 아마존 알렉사를 사용하는 '듀얼브레인 AI'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 /사진=KT 제공

'지니'와 '알렉사'가 만났다.

KT는 기가지니와 아마존 알렉사(Alexa)가 합쳐진 인공지능(AI) 서비스인 '기가지니 듀얼브레인(Dual Brain) AI'를 출시한다고 10일 밝혔다.

기가지니 듀얼브레인 AI는 KT 기가지니와 아마존 알렉사의 AI를 모두 기가지니 단말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KT 기가지니3 이용고객이면 누구나 별도 단말이나 서비스 구매 없이 기존 기가지니 단말에서 듀얼브레인 AI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기가지니에서 '지니야'라고 부르면 한국어 기가지니를, '알렉사'라고 부르면 영어로 아마존 알렉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가지니를 사용할 땐 하얀색, 알렉사를 사용할 땐 파란색 LED가 점등된다.

특히, KT는 국내 고객들의 알렉사 서비스 사용성을 고려해 음성뿐 아니라 화면으로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카드(Display Card)' 기능을 추가했다. 기가지니에서 알렉사에게 영어로 질문을 하면, 답변 정보가 음성과 함께 TV 화면 우측에 카드 형태로도 표시된다. 아마존 알렉사는 기본적 대화와 정보검색 외에도 키즈와 스마트홈, 엔터테인먼트 등을 주요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글로벌 AI 음성인식 서비스다. 13만개 이상의 서비스 앱(skills)들과 14만개의 연동 가능한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KT는 상반기 중으로 기가지니1과 기가지니2에도 듀얼브레인 AI 탑재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이로써 약 310만명의 기가지니 고객들이 모두 아마존 알렉사를 기가지니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또한 출시와 동시에 KT 블로그, 유튜브, 홈페이지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알렉사로 쓸 수 있는 주요 서비스 목록을 안내하며 서비스 활용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양사는 기가지니에서의 아마존 서비스 협력 범위를 단말을 넘어 스포티파이(Spotify) 등 프리미엄 콘텐츠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최준기 KT AI/BigData사업본부장은 "화면 사용자환경(UI) 기반의 풍부한 AI서비스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KT 기가지니와 가장 많은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아마존 알렉사의 만남은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며 "기가지니 듀얼브레인 AI 서비스를 시작으로 KT는 아마존과의 협업 도메인과 서비스 범위를 지속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