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디지털 공인 신분증인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전국 공항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22일 밝혔다.
통신3사와 한국공항공사는 이날부터 전국 공항 국내선 탑승 수속 시 생체인증 등록을 위한 신분증 대체 수단으로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제공한다. 공항에서 모바일 신분증이 전산으로 인증되는 형태로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공항공사는 국내선 항공기 탑승수속 시 신분증 미소지로 인한 승객불편을 해소하고자 지난 2018년부터 바이오인증 원(One) ID 신분확인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기존에는 최초 등록 시 주민등록증ᆞ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이 필요했으나, 이번 통신3사와의 협력으로 원 ID 등록 시 신분증 대신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 통신3사와 한국공항공사는 다수 항공사와 함께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의 적용 다음 단계로 모바일 항공권과 모바일 운전면허를 결합한 '스마트탑승권' 서비스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탑승권은 공항 게이트 출입은 물론, 면세점·무인자판기 등 공항 내 서비스 전반에 적용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통신3사는 이번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의 전국 공항 적용을 발판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처를 확대, 전국 어디에서나 PASS 애플리케이션(앱)을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고객의 편의성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통신사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중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 보안 강화를 위한 고도화를 준비하는 등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 문화 형성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통신3사 인증 서비스 '패스', QR출입증 증명 기능 강화한다
- '숨은 데이터 부자' 통신3사, 마이데이터 사업 직접 진출...고객 맞춤형 서비스 예고
- "편의점부터 카페까지" SKT, 새로운 구독 상품 '우주패스 핫픽' 선봬
- 'OTT-구독 서비스'로 소비자 잡아라...제휴 콘텐츠로 해법 찾는 통신3사
- 창립 10주년 패스트트랙아시아...'컴퍼니빌더→유니콘빌더' 비전 제시
- KT, 신한은행 AI 인재 함께 키운다...실무 자격인증 'AIFB' 도입
- U+스마트홈 '구글패키지' 가입자 10만명 달성 임박…2030세대 홈 IoT 기반 확대
- 취임 1년 황현식 LGU+ 사장...'찐팬' 만들기 계속된다
- 올레tv, 한국 영화·드라마에 한글 자막 입힌다 "소외계층 시청환경 개선"
- LGU+,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레뷰'에 71억원 투자
- 지난해 통신사 연봉킹 'LGU+ 황현식', 임원 연봉 1위는 'SKT'
- 입국격리 해제로 해외여행 기대감 UP...통신3사 로밍 혜택 미리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