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그룹사의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 행보를 공식화했지만, 6월 들어서도 이용자 감소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경쟁사인 카카오뱅크-토스가 금리인상에 힘입어 큰 폭으로 이용자를 끌어 모았지만, 케이뱅크는 가상자산 시너지가 희미해지며 점차 존재감을 잃고 있다.
4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6월, 케이뱅크의 월간순이용자(MAU)는 273만명으로 전달대비 5000여명 가량 줄었다. 반대로 업계 1위 카카오뱅크는 1315만명으로 전달대비 40만명 가량 순증, 케이뱅크와의 격차를 5배 가량으로 벌리게 됐다. 최근 300만명의 이용자를 모은 토스뱅크에 힘입어 토스 또한 MAU를 1427만명까지 끌어올렸다. 이는 전달대비 50만 가량 늘어난 것이다. 인터넷전문은행 빅3 중 케이뱅크만 유일하게 이용자가 감소한 것.
업계에선 케이뱅크가 그간 코인 거래 중개로 재미를 봤던 만큼, 코인 시장 부진이 이용자 감소의 주 원인으로 보고 있다. 실제 케이뱅크는 지난해만해도 인터넷 전문은행 중 유일하게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의 제휴로 이용자를 크게 늘렸으나, 가상자산 시장이 침체에 빠지며 힘을 잃은지 오래다. IPO를 앞두고 고객 상당수가 케이뱅크를 떠나, KT그룹사와의 시너지를 꾀하는 것도 쉽지 않은 형국이다.
이때문에 시장 반응은 냉랭하다. 올초까지 치솟던 장외 몸값은 어느덧 고점대비 반토막 수준까지 밀리며 주당 1만5000원(시가총액 5조원 규모)에 팔겠다는 매물도 치솟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리테일 영업력이 약해 MAU가 중요한 가치 척도 불린다. 이에 IPO 소식이 전해지면 장외시장에 불이 붙던, 여타의 기업 사례와는 정반대 모습이다. 투자은행발로 거론되는 시총 7조~10조원설이 설득력을 잃고 있는 이유이기도하다.
업계에선 카카오뱅크-토스와의 모바일 이용자 격차가 매달 벌어지고 있는데다, 시중은행들의 모바일 전략이 빛을 발하고 있어 케이뱅크 자체의 성장성에 의구심을 제기한다. 최근 금융앱을 통합한 KB금융의 스타뱅킹은 5월 순이용자를 1110만명까지 끌어올리며, 1년새 두자릿 수 가까이 덩치를 키웠다. 이젠 시중은행들도 좀처럼 모바일 점유율을 내어주지 않고 있는 것.
이때문에 관련업계에선 케이뱅크의 추정 몸값으로 불리는 5조~10조원 자체도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한다. 금리인상기에 접어들며 성장주 밸류에이션이 급격히 무너진 상황에서 케이뱅크가 카카오뱅크-토스보다 비쌀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IB에서 계속 몸값을 띄우고 있으나 케이뱅크의 지난 1분기말 기준 자본총액(순자산)은 약 1조원 후반, 카카오뱅크의 추정 PBR 약 3배를 곱하면 5조원 수준으로 여기에 할인율을 일부 적용해야해 케이뱅크의 적정 몸값은 더 내려가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코인판 흔들 메기가 온다...카카오뱅크, 가상자산 '출사표'
- '디지코' KT 날았다, 1분기 역대급 실적...12년만에 영업이익 6000억 벽 뚫었다(상보)
- KT가 개발한 기업 AI 실무 자격인증 'AIFB', 성균관대 졸업요건 됐다
- 카카오페이, 대출 '정거장'으로...고신용자·중저신용자 다 모인다
- 업비트 원화 입출금 검증 솔루션 기업 보난자팩토리, 중기부 '이노비즈 인증' 획득
- [테크M 리포트] IPO 타이밍 놓친 케이뱅크, 장외 몸값 5조로 급락...왜?
- [테크M 이슈] 또다시 여의도 견제구...'카카오뱅크'가 두렵지 않은 이유
- "공모주 사면 호구?" MAU 270만 '케이뱅크' IPO가 부담스러운 이유
- KT, 미디어 스타트업 6곳과 맞손...올레 tv 서비스 혁신
- [테크M 이슈] 5주년 맞은 카카오뱅크...'플랫폼'으로 은행원 놀라게 한 비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