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 2차관이 인공지능(AI) 보안을 차세대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14일 박 차관은 서울 강남 보코서울에서 열린 '제 5회 AI시큐리티 데이' 세미나에서 "과기정통부는 사이버보안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한편, 신시장 창출 면에서 AI보안 산업을 차세대 보안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또 "AI 보안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을 적극 육성하고 국가 데이터셋을 개방하는 한편, 인력 양성에도 힘쓰겠다"며 "신시장 창출 뿐만 아니라 인증제도 개선을 통해 혁신 제품들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는 등 AI 보안이 확산되도록 기반을 다져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안전이 내재화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축하기 위해 사이버보안이 강화돼야 한다"며 "이는 보안산업 발전으로부터 비롯되는 민간 역량이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하나로 뭉쳐야 산다" 통합 플랫폼에 꽂힌 보안기업들
- KISA-CJ올리브네트웍스, 총 상금 3000만원 '버그바운티 대회' 연다
- 한국과 사이버 안보 협력 강조한 美 "집단적 방어로 대응해야"
- 오동환 KISA 단장 "보안 경쟁력 확보는 '플랫폼화'에 달려있다"
- 위상 달라진 'K-보안'…尹 대통령 "사이버 예비군 창설하고 10만 인재 양성"
- '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AI가 지킨다…최신 보안기법 도입으로 '新보안체계' 구축
- 'K-보안' 주목하는 尹 행보에...업계 "긍정적이지만 구체화 필요"
- 닻 올린 디지털플랫폼정부위, 尹 "공공서비스, 민간 수준으로 개선"
- 국산 'AI 반도체' 키우는 정부…"데이터센터에 적용해 K-클라우드 경쟁력 강화"
- 'AI바우처' 확대하는 과기정통부, 2023년 700억 투입해 기업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