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미닛 제공
/사진=디미닛 제공

'다양성'은 실리콘밸리 성장의 마중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실리콘밸리가 실제로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이 뒤따랐는데요. 최근 메타(옛 페이스북)의 통계에 따르면, 원격근무 제도를 도입하면서 다양한 배경의 직원들이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20년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원격근무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메타는 지난해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원격근무를 기업 내 영구적인 제도로 정착시켰습니다. 희망 직원 누구나 자유롭게 원격근무를 신청할 수 있고, 기업 역시 이를 90% 이상 승인할 정도로 적극적인 태도로 응했습니다. 

원격근무는 메타의 다양성 강화로 이어졌습니다. 메타가 최근 발간한 연례 다양성 보고서에 따르면, 흑인과 히스패닉, 아시아계 비중은 지난해와 올해 소폭 증가했습니다. 또한 관리자급의 여성 비중 역시 35.5%에서 36.7%로 늘어났습니다. 

반면 백인 비율은 1.5%포인트 소폭 줄어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원격근무 방식 일자리를 유색 인종이나 장애인, 퇴역 군인 등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습니다.

원격근무가 가져온 시너지 효과는 다양성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메타는 원격근무 제도로 인해 일부 워킹맘 또는 장애인 직원들이 가정과 직장을 모두 지킬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메타는 현재 원격근무를 선택한 직원이 생활비가 다른 지역으로 이사할 경우 급여 조정 또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리콘밸리의 다양성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못한 부분도 있습니다. 2020년 실리콘밸리 전체 인구 중 흑인 비율은 2%에 그치기 때문입니다. 이는 2010년 3%였던 비중과 비교해 오히려 줄어든 것입니다. 여성 비중 또한 전체 44%를 차지하지만, 관리자급에선 아직 26%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