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지난해 녹록치 않은 대외환경 속에서도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호실적을 견인했다.
26일 삼성SDS는 2022년 매출액 17조2347억원, 영업이익 9160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실적을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6.4%, 영업이익은 13.4%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4조2499억원, 영업이익은 18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 3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 분야별 연간 실적을 살펴보면 IT 서비스 사업 매출액은 5조9682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9% 성장했다. 이는 제조∙금융∙공공 분야 클라우드 사업 확대와 차세대 전사적자원관리(ERP) 전환 컨설팅 수행 등에 힘입은 결과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에서는 삼성클라우드서비스(SCP)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CSP) 사업과 애플리케이션(앱) 현대화를 중심으로 한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MSP) 사업이 고르게 성장하며 연간 매출 1조1627억 원을 달성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CSP 사업은 SCP를 필두로 한 공공 및 금융 업종 진입과 함께 고성능컴퓨팅(HPC),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등 기업형 서비스가 본격화됐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한 4353억원으로 집계됐다.
MSP 사업의 경우 지난해 매출 432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한 수치다. 여기에는 소프트웨어(SW) 재구축을 골자로 하는 앱 현대화 사업 확대 및 공급망관리(SCM), 고객관계관리(CRM), 인적자원관리(HRM) 등 글로벌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구축사업 매출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SaaS 사업 매출은 삼성SDS 자체 솔루션에 대한 사내 및 대외 협업 서비스 사용이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 성장한 2950억원을 기록했다.
물류 사업 매출은 항공 물동량 증가와 미주∙유럽 물류 서비스 확대 등으로 11조266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1% 증가한 수치다. 삼성SDS는 디지털 물류 포워딩 서비스 '첼로 스퀘어'를 오는 10월 베트남에, 11월에는 싱가포르로 범위를 넓히고, 동남아시아 시장에 진입할 예정이다.
이날 삼성SDS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배당안을 지난해 주당 2400원에서 33% 증가한 3200원으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개년 배당성향을 30% 수준으로 한다는 배당정책도 공시했다.
삼성SDS 관계자는 "올해 지속되는 글로벌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클라우드'와 '디지털 물류'에 방점을 두고 글로벌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며 "IT 서비스 사업에서는 삼성클라우드서비스(SCP)에 다양한 상품을 추가하고 글로벌 리전을 확대하는 등 클라우드 사업을 강화하고, 물류 사업에서는 첼로스퀘어를 중심으로 미국, 유럽 등 서비스 권역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테크M 리포트] 'CSP·MSP·SaaS' 삼각편대 완성한 삼성SDS…2023년 매출 성장 기대
- 삼성SDS, 글로벌 AI학회 '뉴립스'에 3년 연속 강화학습 최적화 논문 등재
- [테크M 리포트] 2023년 'IT서비스'가 뜬다…"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기술력"
- 말많고 탈많은 CSAP 등급제...국내 사업자 입장도 '제각각'
- "올해 기업 사이버 보안 화두는 클라우드"…삼성SDS, 통합 보안 플랫폼으로 대응
- 삼성SDS, 지난해 영업이익 9160억원…전년비 13.4%↑(1보)
- 클라우드 성장 궤도 안착한 삼성SDS…"특화 상품 확보로 사업 고삐죈다"(종합)
- '삼성SDS표' 클라우드 본격 시동…"통합 브랜드·HPC데이터센터로 韓 기업 시장 평정한다"
- 삼성SDS, 엠로 최대주주 등극…"통합 SCM 플랫폼 역량 확보"
- '클라우드·디지털 물류' 성장궤도 오른 삼성SDS…"투자·M&A로 사업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