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는 세계 최고 권위 인공지능(AI) 학회 '뉴립스(NeurIPS)'에 3년 연속 조합 최적화 논문을 등재했다고 27일 밝혔다.
뉴립스는 AI·머신러닝(ML) 분야에서 세계 최대 규모이자 최고 권위를 가진 학회다. 특히 논문 채택율이 25%에 불과할 정도로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산출되는 연구 결과들의 기술적 영향도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삼성SDS가 등재한 논문은 '강화학습을 활용한 조합 최적화' 기술에 관한 연구다. 삼성SDS는 AI 스스로 최적의 해결책을 찾는 강화학습 기술을 활용해 클라우드 컴퓨팅(GPU) 자원 할당, 제조·물류 분야 공정 최적화 등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최적화 기법을 제시했다.
삼성SDS는 이 기술을 활용해 '뉴립스 경로 최적화를 위한 ML 경진대회(NeurIPS 2022 Vehicle Routing Competition)'에서 글로벌 기업 및 대학 54개 팀 중 최종 3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는 다양한 변수와 제약조건이 있는 상황에서 주문 받은 물건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최적의 경로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또한 AI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한 팀에게 수여하는 심사위원단 특별상(Jury Prize)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삼성SDS는 올해 뉴립스에 채택된 논문 포함 글로벌 주요 학회에 논문 총 11건을 등재했다. 글로벌 자연어처리 학회 '자연어처리국제학술대회(EMNLP) 2022'에 메타러닝을 활용한 언어모델 최적화 방법에 대한 논문을 실었다. 메타러닝은 주어진 데이터만 가지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과정자체를 학습하는 AI 시스템이다.
컴퓨터 비전(이미지 인식 기술) 분야 우수 학술대회 '패턴인식 국제학술대회(ICPR) 2022'에는 자기지도학습 기반 이미지 분류와 문서 분류 자동화 논문 두 건이 채택됐다. 자기지도학습은 최소한의 데이터만으로 스스로 규칙을 찾아 분석하는 AI 기술로, 사람이 별도로 지도하지 않아도 기계가 스스로 대상을 인지하고 의미를 부여한다.
권영준 삼성SDS 연구소장 부사장은 "앞으로도 AI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기술을 고도화하고 산업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경기침체 문제없다" 삼성SDS, 내년부터 클라우드 투자 '결실'(종합)
- 삼성SDS, 데이터 분석 플랫폼 '브라이틱스 스튜디오'로 인재 양성 지원
- 삼성SDS, 부사장 4명·상무 9명 승진…클라우드·디지털물류 인재 중용
- 미래 성장 밑그림 그린 IT서비스 '빅3'…키워드는 '클라우드·신기술'
- 삼성SDS-비마이프렌즈, 글로벌 물류사업 강화 '맞손'
- [테크M 리포트] 'CSP·MSP·SaaS' 삼각편대 완성한 삼성SDS…2023년 매출 성장 기대
- [테크M 리포트] 2023년 'IT서비스'가 뜬다…"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기술력"
- "올해 기업 사이버 보안 화두는 클라우드"…삼성SDS, 통합 보안 플랫폼으로 대응
- 삼성SDS, 지난해 영업이익 9160억원…전년비 13.4%↑(1보)
- 삼성SDS,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달성…클라우드가 성장 이끌었다(상보)
- 클라우드 성장 궤도 안착한 삼성SDS…"특화 상품 확보로 사업 고삐죈다"(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