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클레이' 대량 매도로 도마 위에 올랐던 클레이튼의 거버넌스카운슬(GC) '크래커랩스'가 매도했던 약 250만달러(약 32억5000만원) 규모의 클레이를 다시 매수했다. 또 차익인 약 200만클레이를 소각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사전공시 없이 클레이를 매도한 점, 클레이 매도 과정에서 트랜잭션을 분산하고 섞은 점은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있다.
또 업계선 클레이튼 재단이 이번 사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면 생태계에 대한 신뢰 회복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클레이 대량 매도한 크래커랩스...공시 없었다
15일 블록체인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에서 독립한 클레이튼 재단은 GC인 크래커랩스가 앞서 매도한 250만달러 규모 클레이를 다시 구입하고, 차익인 약 200만클레이를 소각했다고 밝혔다. 크래커랩스는 지난달 23일부터 바이낸스 등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클레이를 매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공시도 없었고, 클레이의 이동 과정에서도 석연치 않은 점이 포착됐다는 것이다. 크래커랩스는 약 250만달러 규모의 클레이를 매도하면서 어떤 공시도 하지 않았다. 공시가 국내 가상자산 업계 최대 화두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클레이튼 재단 소속 GC가 공시도 없이 클레이를 대량 매도한 것이다. 게다가 크래커랩스가 매도한 클레이는 클레이튼 재단으로부터 투자 받은 것이다.
또 클레이 투자자들은 판매 과정도 지적하고 있다. 크래커랩스는 자신들이 만든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그램인 '스테이크리'를 통해 클레이를 분산 이동시켰다. 이 과정에서 쓸데없는 트랜잭션을 섞어 자금 추적을 어렵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일각에선 자금세탁 의혹이 일기도 했다.
이에 클레이튼 재단도 "이번 분산 이동에 사용된 클레이는 모두 크래커의 소유이며, 그 과정이 복잡하고 난해하여 이 분산 이동 과정에서 이슈를 일으킨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없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클레이튼 재단은 "크래커팀은 클레이튼 생태계의 신뢰 회복과 토크노믹스의 성장에 더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드는 것을 약속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준비되는대로 추후 크래커팀에서 업데이트 할수 있도록 하겠다"며 "클레이튼 재단은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클레이튼 생태계가 만들어져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클레이 원상복구 했지만...무너지는 신뢰
크래커랩스의 클레이 매입과 클레이튼 재단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클레이튼 생태계에 대한 신뢰는 점점 낮아지는 모습이다. 이번 매도는 공시 없이 진행됐기 때문에 문제제기가 없었다면 이슈가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충격을 피하려 클레이를 분산 이동시켰다는 크래커랩스의 해명도 애초에 공시가 없었기 때문에 납득하기 어려운 해명이다. 사전 공시가 충격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란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또 크래커랩스는 지난달 23일부터 클레이를 매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루 전인 2월 22일은 클레이튼 재단이 사실상 '제로 리저브'를 선언한 날이다. 공교롭게도 크래커랩스의 클레이 매도 시기 동안 클레이는 우하향 곡선을 그렸다. 제로 리저브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힘을 쓰지 못한 것이다. 제로 리저브를 선언하고 폭등한 라인 블록체인의 '링크(LN)'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아울러 클레이튼 재단은 크래커스랩과 선을 그었다. 클레이튼 재단은 "크래커랩스의 경우 일부의 크러스트 유니버스 출신 인원도 포함돼 있지만, 전반적으로 국내외 IT 기업 출신 멤버로 이뤄진 회사"라고 설명했다. 다만 크래커랩스의 주요 주주가 모두 카카오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량의 클레이를 투자했음에도 불구하고 크래커랩스의 클레이 대량 매도를 알지 못했다는 점도 클레이튼 재단에겐 뼈아픈 부분이다. 생태계를 같이 만들어가는 투자사와 소통이 전혀 되지 않고 있음을 시인한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크래커랩스의 클레이 대량 매도는 투명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공시도 없었다"며 "결과는 시세로 나타났을 것이고, 과정에 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다른 여러 프로젝트들도 이렇게 유동화하는 경우가 많은데 걸려서 억울할 것이다. 개선되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GC와 관련해 명확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번 사태에 대한 제대로된 조치와 더불어 추후 공시가 명확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 더 이상 신뢰를 회복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라인 블록체인 이어 클레이튼도 사실상 '제로 리저브'...업계에 미칠 영향은?
- 코인 주주환원 나선 카카오 클레이튼...'제로 리저브' 투표 사실상 과반 달성
- 카카오 클레이튼 '제로 리저브' 첫발...1.8조원 규모 클레이 소각
- 탈중앙으로 카카오와 단절? 클레이튼 재단 "카카오 디앱, 활성화될 것"
- 업비트는 韓 독점 사업자? 한국인이 즐기는 바이낸스 일거래량...업비트의 '7배'
- '탈' 클레이튼 LG전자, GC 멤버서 빠졌다...15억 규모 클레이 시장에 풀리나
- 클레이튼 재단, 세이프팔 지갑 연동...글로벌 이용자 접근성 강화
- 넷마블 마브렉스, MBX 6.7억개 소각하면 가격 오를까?...예전 '제로 리저브' 가격 변화 어땠나
- '수이'도 피하지 못한 가상자산 유통량 문제..."락업-스테이킹 구분하고 관리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