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중국 최대 검색 엔진 바이두는 지난달 31일 인공지능(AI) 챗봇 '어니봇'을 공식 출시했습니다. 앞서 바이두는 중국 당국에 보안 평가를 제출했고, 생성형 AI 지침을 준수했습니다. 해당 지침에 따르면 기업은 사회주의의 핵심 가치를 따르고 정부가 허용한 데이터를 활용해 AI 훈련을 진행해야 합니다.

출시 직후 어니봇은 많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중국 모바일 앱 분석 플랫폼인 치마이에 따르면 어니봇은 출시 24시간 동안 중국 애플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31만610회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내 주요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 4곳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고, 다운로드 횟수는 총 240만회에 달했습니다. 또한 바이두는 출시 이후 24시간 동안 어니봇에 3342만개의 질문이 입력됐다고 밝혔습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질문에 대한 어니봇의 대답도 시선을 끌었습니다. AFP 통신에 따르면 어니봇은 대만과 톈안먼 시위, 신장 위구르 자치구 강제 수용소, 홍콩 반정부 시위 등 민감한 질문을 할 경우 "화제를 바꾸자"고 제안하거나 질문이 차단됐습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직접 검열을 통제하는지'와 '신장에 구금된 위구르인 수' 등을 질문하자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FP 통신은 어니봇이 중국 당국의 입장과 상반되는 대답을 한 경우도 확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영어로 차이잉원 대만 총통에 대해 질문하자 어니봇이 "차이 총통이 대만의 민주적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했다고 믿는다"며 "모든 사람은 대만인의 선택과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고 답변한 것입니다. 중국은 2016년 5월 차이 총통이 집권한 이후 대만과의 공식 관계를 단절했습니다.

AFP 통신이 대화 주제의 자유에 대해 묻자 어니봇은 "우리는 당신이 원하는 무엇이든 이야기할 수 있다"면서도 "일부 화제는 민감하거나 법적 문제를 건드릴 수 있기 때문에 주제는 당신의 책임이라는 것을 유의해달라"고 했습니다.

한편 바이두 외에도 바이촨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와 지푸AI도 최근 AI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앞서 바이트댄스를 포함한 11개 기업이 중국 정부로부터 AI 서비스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연 중국 기업들이 어떠한 AI 서비스를 선보일지 기다려집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