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일론 머스크의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휴대전화와 스타링크 위성을 직접 연결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외딴 지역에서도 휴대전화만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스페이스X가 미국 이동통신사 T-모바일과 함께 위성을 이용해 휴대전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험을 미 당국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전했습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이날 스페이스X가 제출한 6개월간의 위성 통신 실험 요청을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실험은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840개와 약 2000개의 테스트 장비를 이용해 휴대전화 통신을 시도하는 실험입니다.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과 연결되지 않는 외딴 지역에서 지구 저궤도를 도는 스타링크 위성에 휴대전화를 직접 연결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앞서 스페이스X는 FCC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지상의 모바일 네트워크가 없거나 자연재해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할 혁신적인 휴대전화 직접 연결 기술"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스타링크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별도의 단말기가 필요하나, 휴대전화와 위성을 직접 연결하면 더욱 간편하게 위성 통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해 8월 마이크 시버트 T-모바일 CEO와 함께 스타링크 위성과 휴대전화를 직접 연결하는 데 대한 사업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와 같은 위성 지원 통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기업들의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최대 통신회사인  AT&T도 위성 업체인 AST 스페이스모바일과 함께 위성을 통한 이동통신 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스타링크는 이미 통신 사각지대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전기 및 통신선이 파괴된 지역에서 스페이스X의 위성통신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일론 머스크가 이스라엘을 방문해 이스라엘 당국과 스타링크의 가자지구 내 사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지구 상의 통신 사각 지대를 없앨 수 있을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