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왼쪽)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KT 제공
김영섭 KT 대표(왼쪽)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KT 제공

마이크로소프트(MS)와 AI 동맹을 선언한 KT가 한국형 GPT-4o, 파이, 코파일럿 등을 공동으로 개발해 글로벌 AI 저변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AX(AI 전환) 전문기업도 설립하고 인재육성을 통해 아시아 시장에서의 AI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KT는 MS와 2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 MS 본사에서 AI·클라우드·IT 분야 사업 협력 및 역량 공유를 위한 5개년의 수조 원 규모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김영섭 KT 대표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은 대한민국의 글로벌 AI 리더십 확보를 위해 본격적인 협력 체계를 가동한다.


MS와 협력 강화하는 KT...한국형 AI 서비스 띄운다

양사는 지난 6월 MS 본사에서 AI·클라우드·IT 분야의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김영섭 KT 대표는 MS와의 전방위적 협력을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한국의 디지털 셕신에 이정표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이번 협력은 3개월만에 구체적인 청사진이 나왔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KT와 MS는 기술을 활용해 AI를 개발하고 국내 시장을 선도한다는 포부다. 

김영섭 KT 대표(왼쪽)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KT 제공
김영섭 KT 대표(왼쪽)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사진=KT 제공

우선 양사는 구체적인 논의를 거쳐 앞으로 5년간 AI 솔루션 개발과 한국형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AI 전문인력 육성 등을 함께 추진한다. MS의 고성능 소형 언어 모델 'Phi'와 GPT-4o 등을 활용해 국내 산업에 최적화된 AI 모델 공동 개발에 나선다. 이렇게 개발하는 맞춤형 AI 모델은 KT의 고객 서비스 챗봇 등을 비롯해 B2B 고객을 위한 산업별 특화 AI 솔루션 구축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KT는 MS의 대화형 AI 코파일럿을 자사 서비스에 다양하게 접목해 보다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 KT의 고객들은 코파일럿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AI 검색과 개인화 서비스 등 보다 수준 높은 AI 사용 경험을 일상 속에서 누릴 수 있게 된다.

특히 KT는 글로벌 진출을 위한 AX(AI 전환) 전문기업도 설립한다. AI·클라우드·IT 분야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신설 법인은 KT 그룹의 IT 역량과 MS의 AI·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고객들이 각자의 상황에서 원활하게 AI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이번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은 단순한 기술 협력을 넘어 대한민국 AI 저변을 확대하고 국내 전 산업과 일상의 획기적인 혁신을 앞당길 중대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강력한 빅테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춘 AICT 컴퍼니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AICT 컴퍼니 전환 집중...'믿음'도 진화한다

김영섭 KT 대표는 지난해 8월 취임 이후 AI에 온전히 집중하며 'AICT 컴퍼니' 전환에 집중하고 있다. MS 뿐만 아니라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끊임없이 협력하며 전 세계 AI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원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MS와의 협업 역시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전 세계 AI 시장에서 기술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그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KT는 지난 5월 AI 시장에 집중한다는 의지로 브랜드 슬로건을 변경하면서 AI 전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KT가 새롭게 공개한 슬로건 'KT, 당신과 미래 사이에'는 기존의 통신 역량에 IT와 AI를 결합한 'AICT 컴퍼니'로서의 새로운 비전과 포부가 담겨있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AICT 컴퍼니'로 도약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KT가 서울 서초구 KT 연구개발센터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초거대 AI '믿음(Mi:dm)'의 출시를 발표했다. / 사진=KT 제공
KT가 서울 서초구 KT 연구개발센터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초거대 AI '믿음(Mi:dm)'의 출시를 발표했다. / 사진=KT 제공

MS의 동맹체제를 강화한 KT는 앞으로 글로벌 AI 시장에서 지위를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전 세계 AI 시장은 LLM, 클라우드 산업 등 다양한 기술 확보가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KT는 MS와의 동맹을 통해 AI 기술 발전 속도와 범위를 확장한다. 특히 지난해 KT가 자체적으로 선보인 초거대 AI '믿음(Mi:dm)'에 MS의 기술을 결합해 전 세계에 KT만의 기술력을 선보일 수도 있다. 

김영섭 대표는 이러한 KT의 포부를 전 세계에 직접 전할 예정이다. 그는 내달 1일 웨스틴 조선호텔 서울에서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주최하는 M360 APAC를 연다. 2년 연속 호스트 스폰서로 참여하는 KT는 올해 AI 기술력과 ICT 역량을 집중 조명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김영섭 대표는 'AI 시대의 새로운 지평'이라는 주제의 기조연설 세션에 참여해 AI 시대에서 앞으로의 전략 등에 대해 공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