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지난주 보합세를 이어갔다. 9월 셋째 주(9월 15일~21일) 기준 업비트 종합 지수는 전주 대비 0.16% 하락한 1만7485.78을 기록했다. 업비트 알트코인 지수도 1.33% 내리며 약세 흐름을 보였다.
전통 금융시장과 비교하면 차별성이 뚜렷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1.11%, 나스닥은 1.27% 상승하며 글로벌 증시는 반등세를 이어갔다. 반면 가상자산 시장은 주요 지수가 소폭 하락하며 힘을 받지 못했다.
투자 심리를 가늠하는 공포-탐욕 지수는 평균 53.70으로 '중립' 단계에 머물렀다. 다만 세부 자산별로는 온도차가 컸다
세부 자산별로 살펴보면 ▲에이셔는 평균 84.07로 '매우 탐욕'을 기록했다. ▲에이더블유이(AWE) 역시 평균 지수 82.20으로 '매우 탐욕'을 기록, 가격은 16.99% 급등했다. ▲이뮤터블엑스(IMX)도 81.96을 보이며 '매우 탐욕' 단계를 나타냈고, 일주일 간 20.38% 상승했다.
주간 베스트자산에 오른 웜홀은 한 주간 24.41% 급등하며 상호운용성/브릿지 섹터의 강세를 이끌었다. 웜홀은 개발자가 플랫폼 또는 디앱 내에서 직접 웜홀 기반 브릿지에 쉬운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프런트엔드 임베디드 위젯이다.
반면 워스트자산에 오른 디센트럴랜드는 9.90% 하락해 메타버스 섹터의 약세를 대표했다. 카바(-7.57%)와 넥스페이스(-3.72%), 솔레이어(-5.12%) 역시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중립' 단계에 머물렀다.
섹터별 성과는 더 뚜렷했다. 상호운용성·브릿지(5.30%), NFT·게임(4.34%), 스테이블코인(0.76%) 섹터가 시장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웜홀 효과로 브릿지 섹터는 업비트 종합 지수 대비 5.46%포인트 높은 성과를 냈다. 반면 메타버스(-5.81%), 밈(-5.86%), 스테이블코인 연관 자산(-11.37%)은 시장 평균을 밑돌며 부진했다.
밈코인은 도지코인(-5.68%) 하락에 영향을 받았다. 스테이블코인 연관 자산은 저스트(-2.73%) 약세로 낙폭을 키웠다.
시장에서는 이번 조정을 숨고르기 국면으로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가상자산 시장은 단기 이벤트성 재료에 따라 개별 종목 간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금융시장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가상자산 시장도 단기 변동성 소화 이후 점진적 회복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아시아 유동성 허브 노리는 카이아, '스테이블코인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구축
- 카이아·라인 넥스트, 스테이블코인 슈퍼앱 '프로젝트 유니파이' 띄웠다
- 박혜진 교수 "원화 스테이블코인, 국제 경쟁력 제고의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
- 유통업계 "추석 전에 미리 드릴게요"...정산 대금 조기 지급으로 '상생' 기조
- '웹3 혁신가' 김서준 해시드 대표 "디지털 시민권으로 韓 글로벌 비즈니스 창출"
- 스포츠 마케팅 나선 SKT-SKB, 농구팬-야구팬 위한 '직관' 초청 이벤트 연다
- '자원순환' 앞장서는 LG그룹...LGD는 '폐기물 제로' 인증, LG전자는 자원순환 교육도서 제작
- 벨킨, 'Qi2 25W' 고속 무선 충전 신제품 공개..."발열 관리·대기 전력 '0' 차별화"
- "추석 선물 통신3사에서 구매하세요"...한가위 맞이 특별 기획전 연다
- 글로벌 출시 이틀 앞둔 카카오게임즈 '가디스오더'...액션 RPG 시장 판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