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라스코어,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기판 소재
삼성전기, 과반 지분율 확보…스미토모화학 자회사 동우화인켐, 생산 거점

삼성전기는 일본 스미토모화학그룹과 글라스코어 합작사 설립 검토 MOU를 체결했다/사진=삼성전기 제공
삼성전기는 일본 스미토모화학그룹과 글라스코어 합작사 설립 검토 MOU를 체결했다/사진=삼성전기 제공

삼성전기가 '글라스코어(Glass Core)' 사업에 속도를 낸다. 일본 스미토모화학그룹과 손을 잡았다. 합작사(JV)를 만든다. 글라스 코어는 차세대 반도체 기판 핵심 소재다. 내열성이 좋고 대면적 구현에 유리하다.

삼성전기는 일본 스미토모화학그룹과 '글라스코어 제조 합작사 설립 검토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합작법인은 삼성전기가 과반 지분을 보유한다. 스미토모화학그룹은 추가 출자자로 나선다. 내년 본 계약 체결이 목표다. MOU를 시작으로 ▲세부 지분 구조 ▲사업 일정 ▲법인 명칭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법인 본사는 스미토모화학 자회사 동우화인켐 평택사업장에 둔다. 동우화인켐은 글라스코어 초기 생산 거점 역할도 할 계획이다.

글라스코어는 유리를 이용하는 차세대 반도체 기판 핵심 소재다. 인공지능(AI)과 고성능컴퓨팅(HPC) 발전은 반도체 패키징의 중요성을 환기했다. 반도체 업계는 서로 다른 반도체를 묶어 성능을 향상하는데 주력했다. 반대 급부로 반도체는 커졌다. 발열 관리가 어려워졌다. 글라스코어를 이용한 글라스기판은 기존 유기기판 대비 열팽창률이 낮고 평탄도가 우수하다. 내열 대면적 반도체 패키지 기판 구현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는 "AI 시대 가속화에 따라 초고성능 반도체 패키지 기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글라스코어는 미래 기판 시장의 판도를 바꿀 핵심 소재"라며 "이번 MOU는 3사가 가진 최첨단 역량을 결합해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시장의 새로운 성장축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와타 케이이치 스미토모화학 회장은 “삼성전기와의 협력을 통해 첨단 반도체 후공정 분야에 있어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장기적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종찬 동우화인켐 대표는 "삼성전기와 동우화인켐의 기술 역량을 결집해 첨단 반도체 패키지 소재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스미토모화학이 축적해 온 기술을 기반으로 동우화인켐의 빠른 실행력과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이번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첨단 반도체 패키징 분야의 핵심 소재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